KAIST, 텍스트에서 코드 만드는 인공지능 작곡 기술 ‘어뮤즈(Amuse)’ 개발
(연합뉴스) ‘따뜻한 여름 해변의 기억’을 입력했더니, 코드 진행이 자동으로 완성됐다? 이제 작곡도 감성 하나면 충분하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KAIST 전기·전자공학부 이성주 교수 연구팀이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같은 영감 데이터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음악을 구성해주는 인공지능 작곡 시스템 ‘어뮤즈(Amuse)’를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어뮤즈는 단순한 음악 생성기를 넘어, 창작자와 함께 음악을 만들어가는 ‘AI 작곡 파트너’다. 예를 들어, 감성 문구 ‘설레는 봄날 첫사랑의 기억’을 입력하면, 대형언어모델(LLM)이 어울리는 화성 구조(코드 진행)를 제안하고, 이를 기반으로 AI가 음악을 구성한다. 거기에, 어색하거나 부자연스러운 결과는 음악 특화 AI가 자동 필터링까지 해준다.
주목할 점은 실제 뮤지션들과의 사용자 연구에서 ‘사람과 협업하는 동반자’로서의 가능성을 입증받았다는 점이다.
이 교수는 “어뮤즈는 창작자의 주도권을 지키면서도 AI와의 협업을 실현한 시도”라며, “창작자 친화적 생성형 AI의 미래”를 제시했다고 전했다.
이번 연구는 최근 일본 요코하마에서 열린 세계적 권위의 HCI 학술대회 ‘ACM CHI 2025’에서 전체 논문 중 상위 1%만 받는 ‘최우수 논문상(Best Paper Award)’을 수상하며 세계적으로도 인정받았다.
신주백 기자 jbshin@kmjournal.net
관련기사
메타버스, AI, XR 조금 더 들여다보고 쓰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