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 TPU 공급설에 대응… 젠슨 황 “모든 AI 모델, 우리 플랫폼이 지원”
AI 반도체 1위 기업 엔비디아가 구글의 AI칩인 TPU에 대해 견제에 나섰다.
자사 GPU가 업계보다 한 세대 앞서 있으며, 뛰어난 성능과 다용성으로 모든 AI 모델과 컴퓨팅 환경을 지원한다고 강조했다.
엔비디아 “우리 플랫폼이 한 세대 앞서”
엔비디아는 25일(현지시간) SNS 엑스(X) 공식 계정을 통해 구글의 AI 성과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모든 AI 모델을 구동하고 컴퓨팅이 이뤄지는 모든 곳에서 우리의 플랫폼이 사용된다”며 경쟁 우위를 강조했다.
특히 특정한 AI 구조나 기능을 위해 설계된 ASIC(주문형 반도체)보다 엔비디아 제품이 성능, 호환성, 다용성이 더 뛰어나다고 덧붙였다.
구글 TPU, 엔비디아 GPU에 도전장
구글은 10년 전부터 텐서처리장치(TPU)를 개발해왔으며, 최근 7세대 TPU ‘아이언우드’를 공개하며 외부로 공급 정책을 확대하려는 움직임을 보였다.
비싸고 구하기 힘든 엔비디아의 GPU를 대신할 카드가 TPU임을 인식시키려는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실제로 앤스로픽이 지난달 말 구글의 TPU 100만 개를 탑재한 클라우드 이용 계약을 체결하기도 했다.
일각에서는 메타가 TPU를 직접 도입할지 협의 중이라는 소식도 전해지며, 엔비디아의 주요 고객사 영향력이 축소될 가능성이 제기됐다.
이에 엔비디아 CEO 젠슨 황은 “구글은 고객사이며 제미나이 모델도 엔비디아 기술로 구동된다”고 밝혔다.
양사 입장과 시장 영향
구글은 성명을 통해 맞춤형 TPU와 엔비디아 GPU 모두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며, “양쪽을 모두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논란은 엔비디아와 구글 간 AI칩 경쟁 구도가 본격화하고 있음을 보여주며, 주요 고객사 확보와 기술 우위가 향후 시장 경쟁력의 핵심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최송아 객원기자 choesonga627@gmail.com
- [테크이슈] 구글 TPU 상용화, AI 반도체 경쟁 구도를 뒤흔들다...엔비디아 중심의 GPU 독주 체제 균열
- [서학] 엔비디아, AI 거품론 정면 반박…“데이터 왜곡된 오해일 뿐”
- [서학] 엔비디아 H200 중국 수출 허용 가능성… 트럼프 행정부 내부 논의
- 엔비디아 전성 시대에도… 슈퍼컴 성능 세계 1위는 AMD
- 엔비디아, 1년간 80여 개 과학 슈퍼컴 구축…“AI 기반 과학 연구의 새 표준 열린다”
- [빅테크 컨콜] 젠슨 황, “AI 버블? 엔비디아는 다르다”… 5천억 달러 수주로 증명한 엔비디아의 ‘초격차 현실’
- 트럼프, 엔비디아 AI칩을 ‘외교 지렛대’로… 젠슨 황과 전략적 밀착 강화
- 메타, 구글 AI칩 도입 검토… 엔비디아 시장 흔들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