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세미콘코리아 2025 리더십 디너' 행사 후 발언
"고대역폭 메모리를 포함한 반도체 쪽으로 더 큰 기회가 올 것"

기자들과 대화 중인 곽노정 SK하이닉스 대표이사 사장. (사진=연합뉴스)
기자들과 대화 중인 곽노정 SK하이닉스 대표이사 사장. (사진=연합뉴스)

"(딥시크와 같은) 시도가 많이 나오면 결과적으로 인공지능 보급에 자극제가 될 것이다."

곽노정 SK하이닉스 대표이사 사장이 19일 서울 강남구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파르나스호텔에서 열린 '세미콘코리아 2025 리더십 디너' 행사가 끝난 뒤 기자들을 만나 이같이 말했다.

곽 사장은 "단기적으로는 (AI 반도체) 수요의 변동이 예상될 수는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AI가 본격적으로 산업이나 사회에 스며들고 퍼지는 계기가 돼 고대역폭 메모리(HBM)를 포함한 반도체 쪽으로는 더 큰 기회가 올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달 말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의 저가형 AI 모델이 등장하면서 업계에선 딥시크가 약 2천개밖에 되지 않는 중국용(저사양) 엔비디아 AI 가속기를 사용한 만큼 가속기에 탑재되는 HBM 시장이 크게 위축될 것으로 봤다.

하지만 최근 고가의 그래픽처리장치(GPU) 및 메모리 중심에서 맞춤형 AI칩과 보급형 메모리로 AI 시장이 다변화됨에 따라 HBM 시장 규모도 커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는 등 딥시크 영향에 대한 전망은 달라지고 있다.

곽 사장의 이날 발언 역시 딥시크가 새로운 기폭제로 HBM과 같이 AI 반도체 시장을 더욱 키울 것이라는 취지로 해석된다.

빅테크들이 AI 관련 시설투자(캐펙스·CAPEX) 투자를 늘리는 것도 이 같은 전망에 힘을 보탠다.

업계에서는 주요 클라우드서비스공급자(CSP)의 AI 데이터센터 투자가 확대되면서 GPU를 비롯한 HBM 등 AI 반도체 수요는 더욱 늘 것으로 보고 있다.

클락 청 국제반도체장비재료협회(SEMI) 시니어 디렉터는 이날 오전 세미콘코리아 2025 기자간담회에서 "상위 CSP의 설비 투자 규모는 2018년 800억 달러 수준에서 작년에는 2천억 달러, 올해는 2천500억 달러로 늘 것"이라고 전망했다.

최근 둔화하고 있는 낸드 시장에 대해 곽 사장은 긍정적인 전망을 내놨다.

곽 사장은 "낸드 공급 초과로 업계가 감산을 해왔고 올해 연말 정도쯤이면 좋아지지 않을까 생각한다"며 "낸드 시장 안정화를 위해 업계 전체가 모두 노력하고 있으니 조금만 지나면 좋아질 것"이라고 했다.

시장에서도 낸드 가격이 올해 1, 2분기까지 하락하다가 3분기부터 상승세로 전환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한편, 곽 사장은 한국반도체산업협회 회장으로는 이날 행사가 마지막 공식 일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곽 사장은 그동안 협회장으로서의 소회를 묻는 말에 "반도체가 역사의 중심에 이렇게 선 적이 없었는데 개인적으로 큰 영광이었다"며 "유례없는 다운턴(하락기)도 겪었고 이제는 AI 도래로 빅웨이브가 온 상황인데 우리(한국)가 잘 올라탈 것으로 생각한다. 앞으로도 업계 한사람으로서 서포트하겠다"고 전했다.

권상민 기자 smkwon@kmjournal.net

저작권자 © KMJ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