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챗봇 ‘그록’의 텔레그램 탑재, ‘빅딜’인가 ‘혼선’인가

 

머스크의 xAI 챗봇 '그록' 로고  (사진=로이터, 연합뉴스)
머스크의 xAI 챗봇 '그록' 로고  (사진=로이터, 연합뉴스)

28일(현지시간) 글로벌 메신저 플랫폼 텔레그램과 일론 머스크의 인공지능 스타트업 xAI 사이에 대규모 파트너십이 체결됐다는 발표가 나왔지만, 정작 머스크는 “아직 아무것도 서명된 것이 없다”고 선을 그으며 협업 여부에 혼선이 빚어졌다.

‘그록’ 탑재 발표한 텔레그램 CEO…3억 달러 수익까지 언급

텔레그램 CEO 파벨 두로프는 자신의 X(구 트위터) 계정을 통해 xAI의 AI 챗봇 ‘그록(Grok)’을 텔레그램 앱 전반에 통합하는 파트너십을 공식 발표했다. 그는 “텔레그램의 10억 사용자들이 시장 최고의 AI 기술에 접근하게 될 것”이라며, 해당 협업을 통해 텔레그램이 현금과 주식으로 3억 달러를 확보하고, xAI의 유료 구독 수익 중 50%를 텔레그램이 가져가게 된다고 주장했다.

파벨 두로프 텔레그램 CEO가 엑스에 올린 글에 일론 머스크가 부인하는 댓글을 달았다.  (사진=파벨 두로프 X 게시물)
파벨 두로프 텔레그램 CEO가 엑스에 올린 글에 일론 머스크가 부인하는 댓글을 달았다.  (사진=파벨 두로프 X 게시물)

머스크의 일축…“거래 서명한 적 없다”

하지만 불과 몇 시간 후, 엑스AI의 창업자이자 CEO인 일론 머스크는 두로프의 해당 게시물에 직접 댓글을 달며 “어떤 거래에도 서명된 바 없다”고 선을 그었다. 이에 두로프는 “맞다. 원칙에는 동의했지만 형식이 남아 있다”며 협상의 존재 자체는 인정하면서도, 공식 계약이 성사되지는 않았음을 시인했다.

업계에서는 이번 해프닝을 두고 두로프가 실질적인 계약 체결 이전에 발표를 서두른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머스크가 직접 부정에 나선 점은 양측 간 신뢰 이슈나 파트너십 구조에 있어 의견 차가 존재함을 시사한다.

‘그록’의 논란과 두로프의 사법 리스크…복합적 변수

이번 논란은 단순한 오해 수준을 넘어서 여러 복합적인 리스크를 동반하고 있다. 먼저 ‘그록’은 최근 AI 윤리 논란의 중심에 있었다. 백인 집단학살, 홀로코스트 희생자 수 등 역사적 사실에 대한 왜곡성 발언이 연이어 드러나며 비판을 받았다.

두로프 역시 논란의 당사자다. 그는 프랑스 사법 당국으로부터 아동 음란물 유포, 마약 밀매, 사기, 자금세탁 방치 혐의로 조사를 받고 있으며, 2023년 프랑스에서 체포됐다가 보석금으로 석방된 이력이 있다.

정식 계약이 체결된다면 이는 텔레그램 입장에서 AI 기반 수익모델 전환의 신호탄이 되겠지만, 아직까진 “무르익지 않은 협업”이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파벨 두로프 텔레그램 CEO,  이슈 타임라인

◾ 2023년 8월: 파벨 두로프, 프랑스에서 체포

혐의: 텔레그램 플랫폼을 통한 아동 음란물 유포, 마약 거래, 조직적 사기 방조

결과: 보석금으로 석방

◾ 2024년 3월: 프랑스 사법당국, 두로프의 출국 임시 허가

목적지: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 텔레그램 본사 위치(경영 활동 허용)

◾ 2025년 5월 28일: 두로프, 엑스(X)에서 ‘xAI-텔레그램 파트너십’ 전격 발표 →

→ 머스크, 해당 게시물에 공개 댓글 → 두로프의 추가 답변

결과: 협의 진행 중이나 최종 계약 전 발표

 

신주백 기자 jbshin@kmjournal.net

저작권자 © KMJ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