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언론 "xAI, 직원 컴퓨터에 감시용 소프트웨어를 깔게 강요" 논란
일론 머스크가 설립한 인공지능(AI) 스타트업 xAI가 정부 기관용 AI 서비스를 출시했다고 14일(현지시간) 밝혔다.
xAI는 이날 자사 웹사이트와 엑스(X·옛 트위터) 등을 통해 미국 정부 기관 고객이 이용할 수 있는 AI 제품군인 '그록 포 가번먼트'(Grok For Government)를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회사 측은 "세계 최고 수준의 AI 도구를 연방, 지방, 주(州), 국가 보안 담당 고객 모두에게 제공할 것"이라며 "일상적인 정부 서비스를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만드는 것부터 기초 과학 및 기술 분야에서 해결되지 않은 문제들을 처리할 수 있게 된다"고 밝혔다.
이번에 출시된 서비스에는 xAI의 최신 모델인 '그록 4'를 비롯해, 강화된 검색과 문서 도구 등 업계에서 선도적인 상용 제품들이 포함돼 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아울러 xAI는 미 국방부와 2억달러(약 2천768억원) 상한의 새로운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또 연방 정부의 모든 기관·부서가 연방총무청(GSA)을 통해 xAI의 제품을 구매, 이용할 수 있게 됐다고 덧붙였다.
로이터 통신은 이날 국방부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xAI와 함께 오픈AI, 구글, 앤스로픽 등 4개 업체가 국방부의 업무용 AI 서비스 제공 계약을 따냈다고 전했다.
앞서 백악관 관리·예산실은 지난 4월 연방 기관들이 "경쟁적인 AI 시장에서 얻는 공공의 이익"을 보장해야 한다는 내용의 새로운 지침을 내린 바 있다.
다만 xAI의 이번 정부 계약은 머스크가 정부효율부(DOGE) 수장에서 물러난 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갈등을 빚는 가운데 이뤄졌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한편 xAI는 최근 내부 직원들의 컴퓨터에 감시용 소프트웨어를 깔게 강요했다는 언론 보도가 나와 논란을 일으켰다.
미 경제매체 비즈니스 인사이더는 xAI가 챗봇 그록의 학습을 담당하는 직원들에게 '허브스태프'(Hubstaff)라는 이름의 소프트웨어를 의무적으로 깔게 했으며, 이것이 각 직원의 업무 성과를 측정하는 용도 등으로 쓰여 직원들이 사생활 침해 우려를 제기했다고 전했다.
- 머스크의 xAI, 초격차 선언…‘그록4’로 AGI 주도권 정조준
- AI가 전기를 삼킨다…머스크 式 저장 전략, 한국형 ‘전력 삼각 시스템’ 시급
- [칼럼] 일론 머스크의 내러티브, 나는 세상의 엔진을 다시 만들고 싶었다
- 텔레그램 CEO ‘xAI’와 3억 달러 협업 발표...머스크 "서명한 적 없다" 반박
- 머스크도 올트먼도…'억소리'나는 AI 인재 쟁탈전
- 머스크의 xAI 거대 데이터센터 공해 논란…"숨막힌다" 주민 반발
- MLB연봉 물었는데…"남아공 백인 집단학살" 머스크 AI챗봇 그록 엉뚱 답변
- 머스크 AI '그록', MS 품으로?…애저 탑재 논의 중
- “지구에서 가장 똑똑한 AI”…‘머스크 표’ 챗봇 ‘그록 3’ 공개
- 구글, 유튜브 뮤직 제외한 동영상 전용 구독 서비스 연내 출시
- "여자친구처럼 가능?" 그록 새 기능에 선정성 지적 나오는 이유
- 일론 머스크, 그록 남성 캐릭터 ‘발렌타인’ 비주얼 공개
- 머스크, AI 데이터센터에 '올인'…"xAI, 또 16조원 조달"
- 'AI에 집중' 머스크 " xAI, 5년 내 H100급 5천만 개 가동 목표"
- 스페이스X 위성인터넷 스타링크 접속 장애…머스크 "곧 해결할 것"
- 머스크, 애플에 반독점 소송 예고…AI 앱스토어 공정성 논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