뱅킹, 보험, 증권 등 다양한 서비스 적합 모델 선택 지원
29개 평가지표, 약 1200개 데이터셋으로 구성

사진=LG CNS
사진=LG CNS

LG CNS가 금융 기업을 위한 맞춤형 생성형 AI 평가 도구를 개발했다. 금융 서비스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에 적잖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24일 LG CNS에 따르면 해당 도구는 금융권이 뱅킹, 보험, 증권 등 다양한 서비스에 가장 적합한 AI 모델을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사전에 구축한 데이터셋을 기반으로 시중에 공개된 수십 개의 개방형 LLM(Large Language Model)을 평가한다.

LG CNS가 개발한 이번 평가 도구는 29가지 평가지표와 약 1200개의 데이터셋으로 구성돼 AI 모델의 다각적인 성능을 테스트한다.

△금융 지식을 기반으로 한 추론 능력 △수학적 문제 해결력 △복잡한 질문 이해력 △문서 요약 및 정보 추출 능력 △금융 용어 이해도 △AI 에이전트(Agentic Tool) 사용 능력 등이 주요 평가 항목이다. 특히 AI가 답변하기 어려운 금융 관련 추론 문제를 포함시켜 실제 금융 환경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철저히 검증할 수 있도록 했다는 설명이다.

특히 금융 전문가들과의 협업을 통해 완성도를 높였다는 점을 주목할 수 있다. 금융 현장에서 실제 사용하는 서비스 정보와 전문 지식이 데이터셋에 정확히 반영됐는지 점검하며 완성도를 높였다.

실제로 LG CNS는 실제로 다수의 금융 기업과 협업하고 있다. 최근에는 NH농협은행과 함께 생성형 AI 플랫폼 구축에 착수했으며 신한카드와는 상담사 응대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지난해 신한은행과의 협업으로 LLM 기반 미래형 영업점 ‘AI 브랜치’ 개발했으며, KB금융그룹에는 AI와 클라우드를 접목한 미래형 고객센터(FCC, Future Contact Center)를 구축했다.

현신균 LG CNS 사장은 “금융 서비스에 생성형 AI를 도입하고자 하는 기업의 가장 큰 고민은 어떤 AI 모델이 서비스에 가장 적합할 지 파악하는 것”이라며 “LG CNS의 금융 특화 AI 평가 도구는 금융 기업들의 고민을 빠르게 해결할 수 있는 최적의 솔루션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문용필 기자 eugene@kmjournal.net

키워드
저작권자 © KMJ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