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한국은행, 'AI의 빠른 확산과 생산성 효과' 발표
국내 근로자 절반 이상이 생성형 인공지능(AI)을 업무에 활용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은행이 18일 발표한 'AI의 빠른 확산과 생산성 효과'에 따르면 생성형 AI를 한 번이라도 써본 국내 근로자 비율은 63.5%에 달했다. 사용 목적을 업무 목적으로 한정해도 51.8%로 전체 응답자의 절반을 넘었고 정기적으로 활용한다는 응답도 17.1%에 달했다.
조사 대상을 나눠보면 남성(55.1%)이 여성(47.7%)보다, 청년층(18~29세, 67.5%)이 장년층보다 (50~64세, 35.6%), 대학원 졸업자(72.9%)가 대졸 이하(38.4%)보다 높았다. 직업 별로는 전문직(69.2%), 관리직(65.4%), 사무직(63.1%)의 AI 활용이 높았다.
국내 근로자가 업무 목적으로 생성형 AI를 사용하는 시간(주당 5~7시간)은 미국(주당 0.5~2.2시간)을 크게 웃돌았다. 하루 1시간 이상 사용하는 근로자 비율도 한국(78.6%)이 미국(31.8%)의 두 배를 넘었다.
다만 생성형 AI 활용 이후 줄어든 업무 시간은 평균 3.8%에 그쳤다. 생성형 AI 도입으로 근무 시간이 줄고 여가 시간이 늘었다고 보기 어려운 이유다.
한은은 생성형 AI 사용으로 인한 잠재적 생산성 개선율을 1.0%로 예상했다. 이를 국내 GDP에 대입하면 챗GPT가 출시된 2022년 4분기 이후 올해 2분기까지 GDP 성장률 3.9% 중 1.0%포인트가 AI 도입에 따른 잠재적 기여도로 추정됐다. 다만 이러한 결과에 대해 한은은 "근로자들이 AI 활용으로 줄어든 업무시간에 여가를 즐기지 않고 추가적 생산 활동을 했다는 가정 아래 산출된 것"이라 밝혔다.
권상민 기자 smkwon@kmjourna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