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방송·미디어분야 AI 혁신인재 양성 세미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한국전파진흥협회(RAPA)와 방송·미디어 제작 현장에서 인공지능(AI)를 활용하는 혁신 인재 양성에 나섰다. 이를 위해 두 기관은 10일 '2025 방송·미디어분야 AI 혁신인재 양성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국정과제인 '디지털·미디어 산업 경쟁력 강화 지원'을 추진하기 위해 개최된 이번 세미나는 방송 종사자 300여 명이 참석했다. AI를 활용한 방송·미디어 제작 혁신 사례 및 최신 기술 동향을 공유하고 AI 대전환 시대에 방송·미디어 산업인의 역할과 AI 역량 강화 방안에 대한 토론을 진행했다.

기조연설을 맡은 박구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가 '방송산업과 AI 전환'을 주제로 미디어 분야의 최신 AI 기술 발전 현황 및 AI가 방송 제작에 미치는 영향 등을 발표하고, 미디어 분야에서 심화되고 있는 글로벌 기업의 AI 기술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대안 등을 모색했다.

세션 발표에서는 선거방송에 생성형 AI를 활용한 사례와 생성형 AI를 활용하는 영상 콘텐츠 제작 플랫폼, AI 적용 방송프로그램 제작 사례 등이 공유됐다.  패널토론은 '콘텐츠 제작의 전환점–방송인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다뤘다.

이희대 광운대학교 교수가 사회를 맡고 변문경 메타유니버스 대표, 전창배 국제인공지능윤리협회 이사장과 이용해 변호사(YH&CO)가 패널로 참여하여 생성형 AI 시대 방송인의 역할, 책임과 기술·리터러시 균형에 대해 논의했다.    

강도성 방송진흥정책관은 "이번 세미나가 방송·미디어인들이 AI 기술 이해도와 제작 활용 역량을 한 단계 높이고 방송 AI 전환을 보다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며 "과기정통부는 앞으로도 방송·미디어 산업계와 긴밀히 협력해 제작현장에 필요한 방송 AI 융합인재를 양성하고, 방송·미디어 제작 혁신과 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해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권상민 기자 smkwon@kmjournal.net

저작권자 © KMJ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