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지능’ 지향하는 저커버그와 노선 차이… “AI, 인간처럼 사고해야 한다”

인공지능(AI) 분야의 거장 얀 르쿤 미국 뉴욕대 교수가 12년간 몸담았던 메타를 떠나, 자신만의 스타트업 설립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르쿤 교수는 최근 지인들에게 회사를 떠나 독립적으로 AI 연구를 이어갈 계획을 밝혔다고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가 1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얀 르쿤 교수. 사진=연합뉴스
얀 르쿤 교수. 사진=연합뉴스

AI 대부 르쿤, 메타 떠나 독립 연구로

르쿤 교수는 2013년부터 메타의 ‘최고 AI 과학자’ 직함의 부사장으로 재직하며, 메타 기초인공지능연구소(FAIR)를 이끌어왔다.

그는 현재 새로 설립할 스타트업의 자금 조달을 위해 초기 협상을 진행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르쿤 교수와 메타 측은 관련 보도에 대한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초지능 개발 나선 저커버그와 ‘엇박자’

이번 이탈은 마크 저커버그 메타 최고경영자(CEO)가 인공지능 전략을 ‘초지능’ 개발 중심으로 전환한 시점에 나왔다.

저커버그 메타 CEO는 오픈AI나 구글 등 경쟁사보다 범용인공지능(AGI) 개발이 뒤처졌다고 판단하고, AGI를 넘어서는 초지능 연구를 본격화했다.

AGI는 인간 수준의 지능을 지닌 AI를, 초지능은 이를 초월하는 AI를 뜻한다.

메타는 지난 6월 AI 스타트업 스케일AI에 143억 달러를 투자하고, 28세 천재 개발자 알렉산더 왕을 최고AI책임자(CAIO)로 영입해 ‘메타초지능연구소(MSL)’를 맡겼다.

또한 지난 8월에는 대규모 조직 개편을 단행하고, AI 조직을 4개 핵심 팀으로 재구성했다. 이후 르쿤 교수는 왕 CAIO에게 직접 보고하는 체계로 전환됐다.

LLM은 한계 있다” …르쿤이 제시한 ‘세계모델’

르쿤 교수는 초지능의 핵심으로 대형언어모델(LLM)을 내세우는 저커버그와 달리, LLM 기반 접근 방식에는 한계가 있다고 봤다.

그는 “LLM은 본질적으로 다음 단어를 예측하는 기술에 불과해 인간처럼 추론하거나 계획하는 능력을 갖출 수 없다”고 지적해왔다.

이에 르쿤 교수는 AI가 세상을 직접 보고 듣고 배우며, 관찰과 예측, 추론을 결합하는 ‘세계모델(World Model)’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그의 새 스타트업도 이러한 ‘세계모델’ 연구와 구현을 핵심 목표로 삼을 것으로 전망된다.

AI 3대 석학 중 한 명… “새로운 AI 패러다임 제시할까”

얀 르쿤 교수는 제프리 힌턴 캐나다 토론토대 교수, 요수아 벤지오 몬트리올대 교수와 함께 ‘AI의 대부(Godfathers of AI)’로 불린다. 이 세 사람은 인공지능 기초 연구 업적으로 2018년 컴퓨터 과학계의 노벨상이라 불리는 튜링상을 공동 수상했다.

업계에서는 르쿤의 독립이 차세대 AI 패러다임 전환의 신호탄이 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최송아 객원기자 choesonga627@gmail.com

저작권자 © KMJ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