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메테우스 내년 첫 가동...SNS로 대형 계획 직접 공개
초지능 연구소, ‘베헤모스’ 폐기·폐쇄형 모델 전환 검토
마크 저커버그 메타플랫폼(메타) CEO가 인공지능(AI) 초지능 개발을 위해 대규모 데이터센터 단지를 순차적으로 건설 중인 사실을 공개했다. 최근 AI 연구 인재를 잇달아 영입한 데 이어 물리적 인프라까지 초대형으로 확장하면서, 초지능 경쟁의 속도를 높이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저커버그는 14일(현지시간) 소셜미디어 스레드(Threads)에 올린 글을 통해 “여러 대형 데이터센터를 짓고 있으며, 첫 번째 시설은 내년 안에 가동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첫 번째 데이터센터 이름은 ‘프로메테우스’로, 2026년 본격 운영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기가와트급 전력이 필요한 클러스터 형태로 조성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맨해튼 맞먹는 규모 ‘타이탄 클러스터’… ‘하이페리온’은 최대 5GW로 확장
그는 또 “우리는 훨씬 더 큰 규모의 ‘타이탄 클러스터’를 여러 개 더 세우는 중”이라며 “이 중 하나만 해도 맨해튼 상당 부분과 맞먹는 크기”라고 강조했다. 두 번째로 추진 중인 ‘하이페리온’ 클러스터는 향후 최대 5기가와트(GW)까지 용량을 키울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기가와트급은 원자력발전소 한 기의 발전량에 맞먹는 수준으로, 데이터센터 단지 규모가 그만큼 대형이라는 의미다.
저커버그는 반도체·AI 시장 전문 분석기관인 세미애널리시스가 메타가 1기가와트 이상의 ‘슈퍼클러스터’를 처음으로 보유하게 될 것이라는 전망을 함께 공유하기도 했다. 현재 글로벌 데이터센터는 대부분 수백 메가와트(MW) 규모에 불과하며, 오픈AI와 오라클 등 일부 대형 기술기업만이 기가와트급 데이터센터 개발에 나서고 있다.
수천억 달러 투입… AI 인재 이어 초대형 인프라에 공격 투자
그는 “초지능 구축을 위한 데이터센터 역량 확보에 수천억 달러를 투입할 예정”이라며 “우리는 이를 충분히 실행할 수 있는 자본을 갖추고 있다”고 강조했다. 다만 현재 건설 중인 데이터센터 단지들의 구체적인 숫자나 위치는 공개하지 않았다.
메타의 이번 초대형 데이터센터 계획은 최근 AI 전문가 대규모 영입과 맞물려 주목된다. 메타는 인간 수준을 넘어서는 AI 개발을 위해 ‘메타 초지능 연구소’를 신설하고 인력 확보에 막대한 자금을 쏟아붓고 있다. AI 스타트업 스케일AI의 공동창업자 알렉산더 왕을 최고 AI 책임자로 데려오며 그의 지분 49%를 143억 달러에 인수했고, 오픈AI 연구원 10여 명을 최대 1억 달러의 보상 패키지로 영입했다. 애플의 AI 모델 개발 총괄까지 2억 달러에 스카우트했으며, 오픈AI 공동창업자 일리야 수츠케버가 세운 스타트업 ‘세이프 슈퍼인텔리전스’(SSI)의 대니얼 그로스 CEO, 구글 딥마인드·앤스로픽 등 경쟁사에서 핵심 인력을 다수 끌어왔다.
또한 AI 음성기술 스타트업 ‘플레이AI’를 통째로 인수해 소속 연구원들을 초지능 연구소에 합류시킨 것으로 알려졌다. AI 경쟁력 강화를 위해 인재와 인프라를 동시에 끌어모으는 메타의 행보에 업계 이목이 쏠리고 있다.
베헤모스 폐기·폐쇄형 전환 논의… AI 철학 대전환 예고
이런 가운데 메타의 AI 전략에 결정적인 방향 전환이 감지되고 있다. 뉴욕타임스(NYT)는 14일 보도를 통해, 알렉산더 왕을 비롯한 ‘초지능 연구소’ 핵심 인사들이 메타의 가장 강력한 오픈소스 AI 모델 ‘베헤모스’를 폐기하고, 폐쇄형 모델로 전환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라고 전했다.
‘베헤모스’는 메타의 최신 언어모델 ‘LLaMA 4’ 제품군 중 가장 크고 강력한 모델로, 지난 4월 “가장 똑똑한 대규모 언어모델 중 하나”로 공개됐으나, 출시 일정은 연이어 미뤄져 하반기 이후로 연기된 상태다.
이는 기술 전략뿐 아니라, 메타가 그간 고수해 온 ‘오픈소스 AI 철학’ 자체를 바꾸는 움직임으로 해석된다. 메타는 수년간 AI 모델을 공개하고 개발자들과 기술을 공유하는 방식으로 빠른 발전을 꾀해 왔다. 실제로 메타의 수석 AI 과학자 얀 르쿤은 “결국 승리하는 플랫폼은 오픈 플랫폼일 것”이라는 철학을 강조해 왔다.
하지만 초지능 경쟁이 점점 ‘폐쇄형 모델’ 중심의 자본·연산력 싸움으로 전환되는 분위기 속에서, 메타 역시 기술 공개 대신 독점 전략을 일부 수용할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조하연 인턴기자 hayeon0333@gmail.com
- 'AI 인재 영입' 메타, 음성 AI 스타트업 플레이AI도 인수
- 메타, 초지능 시대 대비 ‘AI 인재 블랙홀’…최대 2,780억 원 보상 패키지 제시
- 저커버그의 승부수…초지능 연구소에 AI 인재 속속 합류
- "도둑맞은 느낌"…'AI인재 사수' 나선 오픈AI
- 메타, 인간 넘는 '초지능' AI연구소 설립 공식화
- 인재 확보에 열올리는 메타…美매체 "오픈AI서 4명 더 빼가"
- 메타, AI 인재 블랙홀로 부상…“초지능 주도권 잡는다”
- 구글, AI 데이터센터 전력 위해 4조원대 수력발전 계약 체결
- 단지 돈이 아니었다...메타 승부수 'GPU' 접근권에 있었다!
- 머스크, AI 데이터센터에 '올인'…"xAI, 또 16조원 조달"
- [테크핫템] 뇌 대신 손목을 택했다…메타, 생각을 읽는 AI 손목밴드 공개
- “5년 내 LLM은 구식”…AI 석학들, 과기부 심포지엄서 ‘포스트 LLM 시대’ 논의
- 메타, 1GW급 태양광 전력 구매…AI 데이터센터 시대 ‘전력전쟁’ 본격화
- 메타 AI 수장 얀 르쿤, 회사 떠나 독립 선언… ‘세계모델’ 기반 스타트업 설립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