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대한 자금을 들여 인공지능(AI) 우수 두뇌를 영입하고 있는 메타가 이번엔 소규모 AI 스타트업을 인수했다.
12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메타는 최근 AI 음성 기술을 개발하는 소규모 스타트업 '플레이AI'(PlayAI)를 인수했다. 이번 인수로 이 스타트업의 전체 팀이 다음 주부터 메타에 합류하게 된다.
플레이AI는 실제 사람처럼 자연스럽게 대화하는 AI 음성 기술을 개발하는 스타트업으로, 총직원은 20명 안팎으로 알려졌다.
메타는 내부 문서에서 이 스타트업에 대해 "자연스러운 음성을 만드는 작업과 간편한 음성 제작을 위한 플랫폼은 AI 캐릭터와 메타 AI, 웨어러블 및 오디오 콘텐츠 제작 전반에 걸친 우리의 작업과 로드맵과 매우 잘 맞는다"고 평가했다.
메타는 최근 인간을 뛰어넘는 가상의 AI 시스템인 '초지능'(superintelligence) 연구소를 설립하고 우수 인력 보강을 위한 광폭 행보를 보이고 있다.
메타는 AI 스타트업 스케일AI에 143억 달러(약 19조7천억원)를 투자하기로 하고 창업자이자 최고경영자(CEO)인 알렉산더 왕을 영입했다.
오픈AI의 공동 창업자인 일리야 수츠케버가 설립한 AI 스타트업 '세이프 슈퍼인텔리전스'(SSI)의 대니얼 그로스 CEO 등도 합류했다.
메타는 또 최고 1억 달러에 달하는 보상 패키지를 제시하며 챗GPT 개발사 오픈AI 연구원들을 대거 영입했으며, 애플의 AI 모델 개발 총괄 책임자를 2억 달러의 보상 패키지로 스카우트한 것으로 알려졌다.
AI 기술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AI 두뇌 영입 경쟁도 가속화하고 있다.
오픈AI는 AI 코딩 스타트업 윈드서프(Windsurf) 인수를 추진해 왔으나 무산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틈 타 구글이 윈드서프 최고경영자(CEO)와 주요 엔지니어들을 영입했다.
윈드서프는 AI를 활용해 개발자들의 코딩을 도와주는 소프트웨어 개발 업체로, 오픈AI가 약 30억 달러(약 4조1천억원)에 인수를 추진해 왔다.
구글은 윈드서프 기술 일부에 대해 라이선스를 확보했으며, 윈드서프의 지분을 보유하지 않지만 이번 거래를 위해 24억 달러(약 3조3천억원)를 지불할 예정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전했다.
신주백 기자 jbshin@kmjournal.net
- 오픈AI, 코딩 업체 윈드서프 인수 무산…구글이 CEO 등 영입
- “AI가 골라주는 세상”…콘텐츠 생존은 노출 알고리즘에 달렸다
- 오픈AI, '1위 수성' 적신호…흔들리는 챗GPT 제국
- 메타, 초지능 시대 대비 ‘AI 인재 블랙홀’…최대 2,780억 원 보상 패키지 제시
- AI 수장·COO까지...애플, 핵심 인재 탈출 도미노
- "메타에 'AI 두뇌' 뺏긴 오픈AI, 직원 주식보상 인상 시사"
- 저커버그의 승부수…초지능 연구소에 AI 인재 속속 합류
- 저커버그, AI 초지능 준비에 ‘기가와트급 데이터센터’… 타이탄 클러스터 추진
- AI기업 윈드서프, 오픈AI의 인수무산 뒤 경쟁사 코그니션 품으로
- 오픈AI 추론 모델 'o1' 개발 참여 유일한 韓 연구원도 메타행
- 메타, 애플 출신 'AI 핵심 인재' 두 명 추가 영입
- 단지 돈이 아니었다...메타 승부수 'GPU' 접근권에 있었다!
- [테크핫템] 뇌 대신 손목을 택했다…메타, 생각을 읽는 AI 손목밴드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