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30억 달러에 인수 추진…최대 파트너 MS와 인수 갈등 관측
챗GPT 개발사 오픈AI가 추진해온 인공지능(AI) 코딩 스타트업 윈드서프(Windsurf) 인수가 무산됐다고 정보기술(IT) 전문 매체 더버지가 1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오픈AI의 윈드서프 인수를 위한 독점 협상 기간이 최근 끝났으며, 구글이 윈드서프 최고경영자(CEO)와 주요 엔지니어들을 영입했다고 이 매체는 전했다.
윈드서프는 AI를 활용해 개발자들의 코딩을 도와주는 소프트웨어 개발 업체로, 오픈AI가 약 30억 달러(4조1천억원)에 인수를 추진해 왔다.
오픈AI의 윈드서프 인수가 무산된 이유는 알려지지 않았다.
다만, 오픈AI와 최대 투자자인 마이크로소프트(MS) 간 파트너십이 최근 불안한 양상을 보이는 가운데 윈드서프 인수 추진도 갈등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관측이 나온다.
MS는 현재 오픈AI의 모든 지식재산(IP)에 접근할 수 있지만, 오픈AI는 MS가 윈드서프의 AI 코딩 기술까지 확보하는 것을 원하지 않았다고 앞서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보도한 바 있다.
오픈AI의 윈드서프 인수가 무산된 틈을 이용해 구글이 윈드서프를 사실상 접수했다.
구글은 윈드서프 CEO 바룬 모한과 공동 창업자 더글라스 첸 및 주요 연구자들을 영입했다.
구글 측은 "윈드서프 팀의 최고 AI 코딩 인재들이 구글 딥마인드에 합류하게 돼 매우 기쁘다"며 "이들이 우리의 '에이전트 기반 코딩' 연구를 더욱 진전시킬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모한과 첸도 "우리는 일부 윈드서프 팀과 함께 구글 딥마인드에 합류하게 됐다"며 "지난 4년간 윈드서프가 구축해 온 성과를 자랑스럽게 생각하며, 세계적인 팀과 함께 다음 단계를 시작할 수 있어 기대된다"고 밝혔다.
구글은 윈드서프의 지분을 인수하거나 회사를 통제하지 않고, 윈드서프 기술 일부에 대해 라이선스를 확보했다. 윈드서프도 구글 외에 다른 기업에 기술을 자유롭게 라이선스할 수 있게 된다.
약 250명 규모의 직원들은 대부분 그대로 남으면서 윈드서프는 기업 고객을 대상으로 한 AI 코딩 툴 서비스를 계속 이어갈 예정이다.
신주백 기자 jbshin@kmjournal.net
- “AI가 골라주는 세상”…콘텐츠 생존은 노출 알고리즘에 달렸다
- 오픈AI, '1위 수성' 적신호…흔들리는 챗GPT 제국
- 챗GPT, 올해 상반기 국내 앱 설치 1위…AI 시대 주인공으로 떠올라
- 메타, 초지능 시대 대비 ‘AI 인재 블랙홀’…최대 2,780억 원 보상 패키지 제시
- AI 수장·COO까지...애플, 핵심 인재 탈출 도미노
- "메타에 'AI 두뇌' 뺏긴 오픈AI, 직원 주식보상 인상 시사"
- 구글의 대반격, AI 패권 향한 3년의 질주
- 'AI 인재 영입' 메타, 음성 AI 스타트업 플레이AI도 인수
- AI기업 윈드서프, 오픈AI의 인수무산 뒤 경쟁사 코그니션 품으로
- 적과의 동침?…오픈AI "챗GPT 운영에 구글 클라우드 사용"
- "오픈AI, 챗GPT 내 결제 시스템 개발 중…수수료 수익 창출 방안 모색"
- 오픈AI, 제품 실험 스타트업 ‘스탯시그’ 1.5조에 인수…AI 응용 시장 속도전 본격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