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내 인트라넷에 'SK텔레콤의 르네상스를 위하여'라는 글 게재

유영상 SK텔레콤 대표. (사진=SK텔레콤/연합뉴스)
유영상 SK텔레콤 대표. (사진=SK텔레콤/연합뉴스)

유영상 SK텔레콤 대표가 인공지능(AI) 사업을 통해 가시적 성과를  창출할 영역으로 '서비스형 그래픽처리장치'(GPUaaS)를 언급했다. 

4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유 대표는 이날 사내 인트라넷에 올린 'SK텔레콤의 르네상스를 위하여'라는 글을 통해 " "람다와 협력을 기반으로 한 GPUaaS는 작년 12월 가산 데이터센터를 시작으로 빠른 매출 창출을 기대할 수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유 대표는 데이터센터(DC)가 빠르게 필요한 수요자를 위한 '모듈러 DC', 보안을 목적으로 하나의 수요자에 최적화된 DC, 초대규모 AI 데이터센터 등 맞춤형 상품을 내놓겠다고 전했다. 

해당 글을 통해 유 대표는 'AI 피라미드 전략 2.0' 등 올해 사업전략을 공유했다. 그는 "글로벌 통신사들은 대부분 네트워크에 AI를 도입해 운용 비용을 절감하고 마케팅에 활용하는 등 '수요자로서의 AI'에 관심이 많다"며 "지금은 문제를 풀기 위해 임시적으로 수요자 관점과 AI를 통한 신성장을 노리는 '공급자로서의 AI'를 인수분해했지만 궁극적으로는 이 둘을 융합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유 대표는 글로벌 AI에이전트 '에스터'(Aster)의 베타 서비스 출시와 거대언어모델(LLM) 에이닷엑스(A.X) 4.0 개발이 마무리 단계에 있다고도 전했으며 연내 멀티모달 AI 모델과 추론 모델 개발 계획도 전했다.  

고한빛 기자 bitta@kmjournal.net

저작권자 © KMJ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