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역 교차로, 미아사거리 등 상습 정체 구간에 도입

드론이 촬영한 양재대로.(사진=서울특별시)
드론이 촬영한 양재대로.(사진=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는 철도나 지하차도 등 장기간 도로를 점용하는 공사에서 발생하는 혼잡을 최소화하기 위해 드론을 활용한 점검을 도입한다고 13일 밝혔다.

시는 2004년부터 도로점용 공사장에 대해 공사 시행자가 시와 협의한 교통 처리 계획을 잘 준수하고 있는지 점검해왔다. 하지만 공무원이 현장을 방문해서 준수 여부를 확인하는 방식이라 실태를 파악하기에 한계가 있었다.

시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올해부터 드론 촬영을 도입한다. 드론으로 광범위한 지역을 신속하게 점검해 차량 흐름을 방해하는 요소를 파악, 조치한다는 것이다. 

시는 장기 대형 도로점용 공사장 60개 전체 지점을 드론으로 분기별로 점검한다. 사전에 협의했던 차로 외에 추가로 점용되지는 않았는지, 횡단보도 등 교통안전 시설물이 적정하게 설치됐는지 살핀다.

삼성역 교차로, 미아사거리 등 차량정체가 잦은 주요 교차로에서는 드론 촬영 결과를 통해 대기행렬, 지체도, 교통량, 통행 속도를 분석하고 도로 점용 면적 조정 가능 여부를 검토하기로 했다.

여장권 서울시 교통실장은 "드론을 활용한 교통관리로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고, 상습 정체 지점의 차량 흐름을 개선하겠다"고 말했다.

권상민 기자 smkwon@kmjournal.net

저작권자 © KMJ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