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정우 네이버 센터장, 국회 인공지능 정책 대응 토론회서 발표
독자적 생태계 구축 강조하기도

하정우 네이버클라우드 AI이노베이션센터장은 딥시크 등장 이후 미국과 중국의 패권 경쟁이 오픈소스  AI로 확전할 것이라고 전망하면서 한국의 오픈소스 AI 생태계 구축을 강조했다.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하 센터장은 18일 서울 여의도 국회도서관에서 열린 ‘트럼프 2기 행정부 이후 바람직한 인공지능 정책 대응 토론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하 센터장은 "오픈소스 AI 생태계를 장악한다는 건 그 위에 있는 벨류체인 전체를 대부분 장악할 수 있다는 얘기이므로 양국이 사활을 걸게 될 것"이라며 한국이 오픈소스  AI 생태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GPU 확보 등 인프라 투자와 함께 AI 에이전트 등 일상에서 AI가 활용되는 생태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봤다. 다만, 국내기업들이 오픈소스로 공개된 딥시크 모델을 통해 천문학적인 비용 없이 사고AI를 개발할 수 있다는 점에 대해선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고한빛 기자 bitta@kmjournal.net

저작권자 © KMJ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