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 법칙, 채용이든 연애든 일단 37명은 걸러보자

누구나 일을 하며 기쁨과 슬픔을 느낀다. 일을 통해 성장 중인 우리 시대 스마트 워커를 위한 가이드.

이미지=구글 Gemini
이미지=구글 Gemini

회자정리(會者定離), 거자필반(去者必返). 만남이 있으면 헤어짐도 있는 법, 조직이라는 생물도 예외는 아니다. 누군가 들어오면 누군가는 나간다. 리더라면 이 과정에서 깊은 고민에 빠질 수밖에 없다.

최근 KMJ도 사람을 뽑아야해서 지원서 더미를 넘기며 그런 생각에 잠겼다. “이 친구, 잘할까? 아니야, 아직 더 좋은 사람이 있을지도…” 그러다 문득 깨달았다.

이건 연애 때랑 똑같다. 연애 초반, 사람 보는 눈이 없을 땐 그냥 다 좋아 보인다. 그러다 세 번째쯤 연애부터 슬슬 기준이 생기기 시작한다. “착한 건 좋은데 말이 너무 없어.”, “센스는 있는데 정리는 안 해…” 그리고 그렇게 기준만 쌓이다 보면, 결국 결혼은 못 하게 된다.

채용도 마찬가지다. 지원자가 오면 반갑고 설레고, 마음이 간다. “이 사람이라면!” 싶다가도, 다음 날 괜찮은 이력서가 또 들어오면 “면접 한 명만 더 봐볼까…”로 마음이 바뀐다. 그런데 문제는 그 다음 사람도, 또 그 다음 사람도 다 뭔가 하나씩은 부족하다는 거다. 그리고 결국, “아무도 못 뽑았다.”는 불행한 결말이 찾아온다.

이럴 땐 수학이 답이다. KMJ가 '대화하는 책장'이라는 유튜브 콘텐츠로 소개한 <알고리즘, 인생을 계산하다>에 따르면, 100명을 만나야 할 상황이라면 처음 37명을 무조건 탈락시켜야 한다. 이 구간은 관찰과 학습의 시간이다. 그리고 그 다음부터는, 지금까지 본 사람 중 최고다 싶으면 바로 ‘고백’… 아니, ‘오퍼’를 날리는 것이 성공 확률을 가장 높여주는 전략이라는 것이다.

이게 바로 ‘37% 법칙’. 이름만 들으면 무슨 공기업 채용 커트라인 같지만, 사실은 연애, 채용, 집 구하기, 인생의 온갖 선택에 적용되는 고급 수학이다. 이 법칙을 채용에 적용하면 꽤 유용하다. 예를 들어 이력서가 30개쯤 들어온다고 예상하면, 처음 10개 정도는 “테스트다”라고 스스로에게 말해둔다. 이상하게 마음이 편해진다. 막연하던 기준이 생기고, 객관적인 안목이 생긴다. 면접도 마찬가지다. 한 10명쯤 볼 생각이라면, 처음 3명 정도를 커뮤니케이션 감각, 질문에 답하는 태도, 눈빛의 진심 등을 파악하며 기준을 만드는 데 쓰자. 그리고 기준이 생기면 그다음부턴 판단이 훨씬 쉬워진다.

누군가 기준을 넘었다? 바로 ‘좋아요’를 눌러야 한다. 물론 현실에서 100명 중 37명까지 보기는 쉽지 않다. 하지만 이건 숫자의 문제가 아니라, 마인드셋의 문제다. 중요한 건 ‘기준을 만들고’, ‘기준을 넘으면 바로 결정하는 용기’다. 더 기다리다 놓치는 일은, 생각보다 자주 일어난다. 그리고 반대로 여기서 우리가 가장 자주 하는 실수 중 하나는, 급한 마음에 기준도 없이 빠르게 뽑는 것이다. 그건 1도 못 고르다가, 갑자기 아무거나 고르는 꼴이다. 생각해보면 조직이 진짜 원하는 건 완성된 인재가 아니라, 함께 성장할 사람이다. 우리 조직에서 진짜 빛나는 건, 누군가의 이력서도, 포트폴리오도 아니다. 호흡과 적응력, 그리고 서로를 믿을 수 있는 감각이다. 그러니 다음 면접이든 소개팅이든, 마음속에 숫자 하나만 새겨두자. 37%.

최고를 찾으려다, 아무도 못 고르는 일이 없도록. 어쩌면 지금 당신 앞에 있는 바로 그 사람이, 당신의 38번째일 수도 있으니까.

신승호

코리아메타버스저널 발행인.

콘텐츠, 플랫폼, 네트워크, 디바이스(CPND)를 아우르는 혁신적인 브랜드 구축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 전 와디즈 및 쏘카 CMO, Daum 브랜드 마케팅 총괄, Mnet 편성 PD, Dentsu AE 등으로 활동했으며, 현재는 XR·AI 기반 몰입형 내러티브 전략과 메타버스 콘텐츠 생태계 구축에 집중하고 있다.

저작권자 © KMJ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