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종 아동부터 몰카까지 ‘범죄 예방 풀옵션’ 가동
경찰청은 과학치안진흥센터와 협력해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실종아동 수색과 자율순찰 로봇 기술 개발 등 자치경찰 맞춤형 과학기술 연구개발(R&D) 신규 과제를 9일 발표했다.
이번 과제는 경찰청이 추진 중인 ‘자치경찰 수요기반 문제해결형 R&D’ 사업의 일환으로, 2022년부터 2027년까지 총 107억 원의 국비가 투입되는 대형 프로젝트다. 지역별 치안 문제를 과학기술로 해결하기 위해 자치경찰위원회, 시·도 경찰청, 지역 연구기관 등이 공동으로 참여하고 있다.
이번 2차 신규 과제로 선정된 첫 번째 사업은 동국대학교와 서울시 자치경찰위원회가 공동으로 추진하는 ‘AI 활용 실종 아동 수색 및 CPTED 기반 범죄예방 지원 플랫폼’이다. 이 과제는 학교 주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아동의 이상행동을 AI가 실시간 분석해 범죄 발생 전 조기 감지하는 시스템을 구축한다. 또한, 실종사건 발생 시 폐쇄회로(CC)TV 분석 기술을 통해 아동의 흔적을 빠르게 추적할 수 있는 기능도 포함된다. 나아가 서울 지역의 공간 정보와 범죄 통계를 통합 분석해 범죄 예측 모델을 개발함으로써, 경찰의 범죄예방 사업을 체계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두 번째로 선정된 과제는 전주대학교와 전북 자치경찰위원회가 주관하는 ‘자율순찰 로봇 및 영상 센서를 활용한 안전관리 체계 구축’ 사업이다. 전주천 산책로 일대의 안전 강화를 위해 야간 적외선 감지, AI 기반 이상행동 탐지 기술을 탑재한 자율순찰 로봇을 개발하고 시범 운영할 예정이다. 아울러 공중화장실 불법촬영을 차단하기 위한 감지 센서 시스템도 개발되며, 센서를 설치해 사각지대를 없애고 몰래카메라 설치를 원천적으로 봉쇄하는 것이 목표다.
경찰청 관계자는 “자치경찰위원회, 시·도 경찰청, 지역 연구기관과 함께 과학치안 협력체계를 공고히 하여, 지역 치안 문제를 실질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겠다”며 “이번 연구 성과는 2027년 실증을 거쳐 현장에 적용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신주백 기자 jbshin@kmjourna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