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능 1.5배 향상된 한국형 LLM… “AI 주도권, 오픈소스로 잡는다”
카카오가 본격적인 AI 기술 경쟁에 불을 지핀다. 자체 개발한 대규모 언어모델 ‘카나나(Kanana)’의 성능 강화 버전 4종을 23일 오픈소스로 전격 공개하며, 개발자 생태계와의 공존 전략을 내세웠다.
이번에 공개된 모델은 ▲카나나-1.5-8B-base ▲카나나-1.5-8B-instruct ▲카나나-1.5-2.1B-base ▲카나나-1.5-2.1B-instruct 등 총 4종이다. 카카오는 해당 모델들을 글로벌 AI 플랫폼 ‘허깅페이스(Hugging Face)’에 업로드하고, 아파치 2.0 라이선스를 적용해 누구나 자유롭게 수정하고 상업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코딩부터 수학까지… 성능 1.5배 향상
‘카나나’는 지난 2월 공개된 나노 모델 대비 코딩, 수학, 함수 호출 등에서 평균 1.5배 향상된 성능을 보이며, 오픈소스 AI 모델 중 SOTA(최고 성능 기준) 수준에 도달했다. 긴 문장과 복잡한 지문을 안정적으로 처리하며, 실제 서비스 적용에 필요한 정밀한 추론 능력도 갖췄다.
카카오는 “카나나는 단순한 언어모델을 넘어, 에이전틱 AI(Agentic AI) 실현을 위한 핵심 도구로 설계됐다”고 강조했다. 즉, 사용자의 요구를 파악하고 능동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AI 에이전트 개발에 최적화된 모델이라는 것이다.
‘카나나 2’도 개발 중… 긴 문맥 처리·고도화된 추론 목표
카카오는 차세대 모델 ‘카나나 2’도 현재 개발 중이다. 이 모델은 더 긴 입력을 처리하고, 복잡한 사고와 추론이 가능한 고성능 AI로 설계되고 있다. 글로벌 수준의 LLM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적 포석이다.
김병학 카카오 카나나 성과리더는 “AI 기술을 통해 함께 성장하고, 선의의 경쟁이 가능한 생태계를 만들고자 한다”며 “모델 성능 고도화는 물론 오픈소스의 가치도 함께 추구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신주백 기자 jbshin@kmjournal.net
- AI, 이제 보고, 듣고, 말한다...‘그녀’는 현실이 됐다
- 카카오엔터프라이즈, AI‧DX 지원 ‘로켓런처’ 참여 서울 기업 모집
- 카카오모빌리티, ‘카카오T’에 AI모델 적용해 사용성 개선
- 카카오그룹 CA 협의체, 정신아 대표 단독 체제로 전환
- 카카오, 언어모델 ‘카나나’ 연구성과 리포트 공개
- 카카오, AI 대중화 앞당기기 위해 조직 단일화
- "카톡 없는 AI 카나나, 챗GPT 이길 수 있을까?"
- 구글, 개발자용 'AI 코딩 에이전트' 출시…오픈AI와 경쟁
- 운전자 심리까지 반영하는 AI 내비게이션...카카오모빌리티, ‘실행 기반 경로 추천 기술’ 상용화
- [국가대표AI 선발전] 카카오, ‘카나나’ LLM으로 도전장…한국어 성능 1위+오픈소스 전략으로 승부
- 카카오톡 안에 챗GPT 들어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