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템 아키텍처 세션 신설…곽노정, 기조연설서 AI 시대 비전 제시
(연합뉴스) SK하이닉스 경영진이 미국 실리콘밸리에 총출동해 '풀 스택 AI 메모리 프로바이더' 비전을 함께 실현할 인공지능(AI) 인재 확보에 나선다.
SK하이닉스는 오는 30일(현지시간)부터 사흘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타클래라에서 '2025 SK 글로벌 포럼'을 연다고 29일 밝혔다.
SK 글로벌 포럼은 미국 내 인재들을 초청해 회사의 성장 전략을 공유하고 최신 기술과 글로벌 시장 동향을 논의하는 자리로, 현지 우수 인재를 발굴하는 기회로 활용하고 있다.
SK하이닉스는 "AI 메모리 생태계를 전방위로 확장하기 위해 컴퓨팅 시스템에 대한 역량을 강화할 시점"이라며 "이 분야에서 전문성을 가진 인재들과 교류를 확대하기 위해 올해 포럼에 시스템 아키텍처 세션을 신설했다"고 밝혔다.
올해는 예년과 달리 초청 인재들이 SK하이닉스의 기술력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별도의 전시 공간을 마련했다.
전시 공간에는 고대역폭 메모리(HBM)와 고용량 eSSD, LPCAMM2 등 AI 데이터센터와 온디바이스 AI 설루션 핵심 제품들을 전시한다. SK하이닉스가 쌓아온 기술 리더십과 혁신의 발자취를 소개하는 연혁 게시물도 함께 선보인다.
작년에 이어 올해 포럼에도 곽노정 대표이사 사장(CEO)과 김주선 AI 인프라 사장(CMO), 안현 개발총괄 사장(CDO), 차선용 미래기술연구원장(CTO) 등 C레벨 경영진이 직접 참석해 초청 인재들과 교류에 나선다.
곽 CEO는 개막 기조연설을 통해 AI 시대에 대응하는 SK하이닉스의 비전과 전략을 제시한다. 안 CDO는 차세대 메모리 기술과 제품 개발 로드맵을 소개할 예정이다.
신상규 SK하이닉스 부사장(기업문화 담당)은 "글로벌 포럼을 통해 꾸준히 우수 인재를 영입하면서 회사의 기술 경쟁력을 강화해 왔다"며 "AI 시대를 이끌어갈 인재 확보 노력을 지속해 SK하이닉스의 르네상스 여정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신주백 기자 jbshin@kmjournal.net
- SK하이닉스, 세계 최고층 321단 낸드 기반 모바일용 설루션 개발
- SK하이닉스 부스 방문한 젠슨 황…"HBM4 잘 지원해달라"
- SK 리밸런싱 1차 밑그림 완성…에너지·반도체·AI '선택과 집중'
- SK하이닉스, AI for Impact 론칭
- SK하이닉스의 새로운 HBM, 그 성능은?
- SK하이닉스, ‘용인 1기 팹’ 본격 착공 돌입
- 'HBM 강자' SK하이닉스, 1분기에 삼성 제치고 D램 점유율 1위
- SK하이닉스, 차세대 D램 ‘4F² VG’·‘3D D램’ 전면에… “향후 30년 이끌 핵심 기술 공개”
- AWS, SK하이닉스 HBM 핵심 고객으로 부상…차세대 AI칩에 ‘12단 HBM3E’ 탑재 유력
- SK하이닉스, HBM4 양산 앞두고 인공지능 뮤직비디오 공개
- “100배 빠른 SSD로 반격”… 키옥시아, 엔비디아 손잡고 삼성·SK 추격 나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