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 고전 중인 구글 ‘제미나이’, 그 이유는 기술이 아니라 거리감이다

한국에서는 생성형AI의 절대강자는 오픈AI의 챗GPT다.  이미지=챗GPT생성 
한국에서는 생성형AI의 절대강자는 오픈AI의 챗GPT다.  이미지=챗GPT생성 

글로벌에선 박빙… 한국에선 KO 패

전 세계 생성형 인공지능(GAI) 시장에서 구글과 오픈AI는 양대 산맥이다. 글로벌 월간 활성 사용자 수(MAU) 기준으로 챗GPT는 5억 명, 제미나이는 4억 명에 달한다. 기술 성능이나 이용자 수 모두 박빙이다.

하지만 한국 시장만 놓고 보면, 양상은 정반대다. 2025년 5월 기준 국내 MAU는 챗GPT 1017만 명, 제미나이 5만5000여 명. 무려 180배 격차다.

기술 격차는 크지 않다. 그렇다면 왜 이토록 큰 간극이 벌어진 걸까?

글로벌 MAU에서 챗GPT는 5억 명, 제미나이는 4억 명으로 20% 차이다.  
글로벌 MAU에서 챗GPT는 5억 명, 제미나이는 4억 명으로 20% 차이다.  

숫자보다 먼 거리: 정서적 체감

올해 구글은 I/O 2025에서 ‘제미나이 2.5 프로’를 공개했다. 이 모델은 1500쪽 분량의 문서를 단숨에 분석하고 복잡한 수학과 코딩 문제를 추론으로 해결하는 ‘딥 씽크(Deep Think)’ 기능을 탑재했다.

단순한 기능이 아니라, ‘생각하는 AI’에 가까운 정교한 시스템이다.

제미나이는 검색, 지도, 유튜브, 문서 등 구글의 다양한 서비스에 깊숙이 통합돼 있다. ‘AI 기능’이 아니라 ‘AI 환경’ 자체를 구축했다는 점에서 기술적으로는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그럼에도 사용자들은 이렇게 묻는다.

“그래서, 이건 왜 써야 하지?”

이 질문은 단순한 호기심이 아니라, 기술과 사람 사이에 놓인 정서적 거리를 드러내는 질문이다.

챗GPT가 선택받은 이유: 감정 설계

챗GPT는 단지 똑똑한 챗봇이 아니다. 오픈AI는 ‘공감하는 AI’라는 서사를 만들었다.

GPT-4o 기반의 지브리풍 이미지 생성기는 사용자 감정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데 성공했고, 이는 챗GPT를 “내 감정을 표현해주는 친구 같은 AI”로 인식시키는 계기가 됐다.

단순한 UX가 아니라, AI에 감정을 투사할 수 있는 경험을 설계한 셈이다.

그 결과, 한국은 미국에 이어 챗GPT 유료 구독자 수 2위 국가가 됐다.

한국 MAU 기준 챗GPT는 1000만 명, 제미나이는 5.5만명으로 180배의 차이가 난다.
한국 MAU 기준 챗GPT는 1000만 명, 제미나이는 5.5만명으로 180배의 차이가 난다.

구글은 ‘정답’을, 오픈AI는 ‘공감’을 설계했다

최병호 고려대 AI연구소 교수는 이렇게 분석한다.

“제미나이는 전문가들에게 최고의 AI로 평가받지만, 일반 사용자에겐 ‘이게 왜 필요한지’가 직관적으로 다가오지 않는다. 무엇보다 이게 구글 AI라는 인식조차 희박한 경우가 많다.”

오픈AI는 일상 대화라는 맥락 속에 AI를 풀어냈고, 구글은 완성된 기능의 집합으로 정답을 제시해왔다.

이 작은 차이가 결국 AI가 사용자 곁으로 얼마나 들어올 수 있는가, 즉 ‘기술의 서사 설계력’에서 갈림길을 만든 셈이다.

한국 시장에서 살아남을 AI, 무엇이 필요한가

구글은 AI를 문서 속에 담았고, 오픈AI는 대화 속에 풀어냈다. 이 작고도 결정적인 차이가 AI가 ‘기술’에서 ‘존재’로 느껴지는지 여부를 가른다. 그리고 이 작은 차이가 한국 시장에서 AI가 받아들여지는 방식에 큰 차이점을 남겼다.

AI는 단지 성능이 좋아졌다고 ‘채택’되는 것이 아니다. 사용자는 기술을 선택할 때 자신의 감정, 습관, 서사와 어울리는 무언가를 찾는다. 제미나이는 지금, 그 선택지 바깥에 서 있다.

한국에서 제미나이가 고전하는 이유는, 기술력이 모자라서가 아니라 그 기술이 사람 마음에 닿는 방법을 아직 찾지 못했기 때문이 아닐까?

신주백 기자  jbshin@kmjournal.net

관련기사
저작권자 © KMJ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