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15일부터 적용되는 치지직 스튜디오 콘텐츠 가이드라인 개정안

[버추얼 현장]은 버추얼 아이돌을 비롯한 버튜버 산업 현장을 취재하는 코리아메타버스저널(KMJ)의 오리지널 콘텐츠입니다.

개정된 치지직 가이드라인 중 일부
개정된 치지직 가이드라인 중 일부

새롭게 적용될 네이버 치지직 가이드라인이 버추얼 방송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귀추가 쏠린다.

지난 15일 치지직은 '치지직 스튜디오 콘텐츠 가이드라인 개정안'을 공개했다. 내달 15일부턴 적용되는 이번 개정안은 "자극적·선정적인 방송을 적극적으로 규제하겠다"는 네이버의 의지를 엿볼 수 있다.

특히 신설된 "다수의 출연자가 동시에 참여하는 방송 형식을 통해 과도한 후원 경쟁을 조장하고 선정적, 폭력적 연출 등을 지속하는 경우 ('치지직' 자체기준 위반 콘텐츠로 봅니다.)" 조항으로 인해 '엑셀 방송'으로 대표되는 지나친 후원 유도 행태는 치지직에서 보기 어려울 전망이다.

버추얼 스트리머들의 주목을 받은 조항도 있다. 콘텐츠 가이드라인 전문에 추가된 아래 문장으로 버추얼 스트리머도 인간 스트리머와 같은 기준으로 선정성과 폭력성 등을 심사하겠다는 것.

"또한, 달리 정함이 없는 한 ‘버추얼 스트리머’(인물의 직접 출연을 대신하기 위해 별도로 제작된 2D 또는 3D 가상 캐릭터를 활용하여 콘텐츠를 제공하는 경우를 말합니다)의 행위 역시 동일하게 ‘제공자’가 행위하는 것으로 봅니다."

일본 유명 버튜버 그룹 '아오기리 고교' (출처 : 아오기리 고교 공식 엑스)
일본 유명 버튜버 그룹 '아오기리 고교' (출처 : 아오기리 고교 공식 엑스)

이에 따라 버추얼 씬에서 비교적 관대한 여성 스트리머들의 노출 콘텐츠가 어떤 영향을 받을지 관심이 쏠린다.

버추얼 스트리머는 인간 스트리머보다 노출 수위가 높은 경우가 많다. 여름을 맞아 비키니 의상을 입고 댄스 커버를 제작하거나 신체 일부가 실제 인간보다 크게 보이도록 아바타를 제작하는 식이다. 노출 의상을 입은 아바타를 아크릴 스탠드 형태로 판매하는 경우도 있다. 

때문에 버추얼 팬들이 즐겨 찾는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스트리머들의 방송이 개정안에 부합하는 지를 두고 대화하는 글이 심심찮게 올라오고 있다. 

치지직과 SOOP에서 모두 방송한 경험이 있는 한 버추얼 스트리머도 KMJ와의 통화에서 "버추얼 문화가 서브컬처에서 유래했기 때문에 의상 등에서 노출도가 있는 편"이라며 개정안이 끼칠 영향에 대한 관심을 보였다. 

새로운 콘텐츠 가이드라인은 10월 15일부터 적용된다. 

권상민 기자 smkwon@kmjournal.net

관련기사
저작권자 © KMJ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