샘 올트먼 CEO, 아이폰 조립업체 럭스셰어와 계약…“주머니 속 AI 비서 시대 임박”
미국 인공지능(AI) 선도기업 오픈AI(OpenAI)가 AI 전용 휴대기기 시장에 본격 진입한다. 애플의 주요 공급업체인 럭스셰어 프리시전(Luxshare Precision)과 계약을 체결하며 AI 하드웨어 개발을 가속화하는 모습이다.
IT 전문 매체 디인포메이션(The Information)은 9월 19일(현지시간) 오픈AI가 애플 디자인의 핵심 인물이었던 조니 아이브와 협업한 AI 스타트업 ‘io’를 기반으로, 언어 인식 중심의 초소형 AI 기기를 설계 중이라고 보도했다. 이 기기는 오픈AI의 언어모델과 긴밀하게 연동되며, “주머니 속 AI 비서”로 자리매김할 가능성이 크다.
애플의 공급망, 오픈AI 하드웨어 야망의 토대가 되다
오픈AI의 파트너인 럭스셰어는 애플의 아이폰과 에어팟을 조립하는 핵심 제조업체다. 이번 계약은 오픈AI가 애플 수준의 정밀 제조 역량을 확보하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또 다른 애플 공급사인 중국의 고어텍(Goertek)에도 오픈AI는 접근 중이다. 고어텍은 스피커 모듈 등 음성 인터페이스용 부품에 강점을 가진 기업으로, AI 기기의 오디오 성능을 높이기 위한 협력일 가능성이 높다.
조니 아이브와 9조 원 규모의 'io' 인수…AI 디바이스 생태계 본격화
오픈AI는 지난 5월, 전 애플 수석 디자이너 조니 아이브가 창업한 스타트업 ‘io’를 약 65억 달러(한화 약 9조 원)에 인수했다. 이는 단순한 연구 협업을 넘어 완제품 출시를 전제로 한 하드웨어 생태계 구축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io’는 미니멀하고 직관적인 사용자 경험(UX) 설계를 지향해 왔으며, 이는 챗GPT 기반 AI와 결합될 때 혁신적인 물리적 인터페이스를 창조할 수 있는 토대로 평가된다.
서버 임대만 5년간 140조 원…“AI 서비스 위한 인프라 전쟁”
하드웨어뿐 아니라 AI 서비스 운용을 위한 컴퓨팅 인프라 확대도 병행 중이다. 디인포메이션은 오픈AI가 향후 5년간 약 1,000억 달러(140조 원)를 서버 임대에 지출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이는 이미 예고된 2030년까지의 총 3,500억 달러 지출 계획에 추가된 금액이다.
오픈AI는 이로써 연간 평균 850억 달러(약 119조 원)를 서버 임대에 투자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구글 등과의 AI 컴퓨팅 패권 경쟁에서 절대 열세에 놓이지 않겠다는 강력한 메시지다.
“AI는 앱이 아니라 기기다”...AI 네이티브 시대의 서막
오픈AI의 이 같은 움직임은 단순히 소프트웨어 제공 기업을 넘어, AI 네이티브(Native) 플랫폼 기업으로의 전환을 상징한다.
주머니에 넣을 수 있는 초소형 AI 디바이스는 스마트폰의 역할 일부를 대체하며, 보다 직접적이고 인간적인 인터페이스로 사용자와 소통하는 방식을 지향한다. 애플이 ‘아이폰’으로 스마트폰 시대를 열었다면, 오픈AI는 ‘AI 컴패니언’이라는 새로운 제품군을 개척하려는 것이다.
이 기기의 출시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지만, AI 모델·UX·하드웨어 설계 모두를 내재화한 오픈AI의 행보는 AI 디바이스 시장의 판도를 근본적으로 바꿔놓을 가능성이 크다.
신주백 기자 jbshin@kmjournal.net
- 오픈AI, 휴머노이드 제어 AI 전담팀 재가동…휴머노이드 개발 본격화
- 오픈AI, '프라이버시 필터'로 개인정보 학습 최소화…AI 거버넌스도 강화
- [테크 칼럼] AI 1위 오픈AI, '기술'이 아닌 '자금'이 움직인다
- 오픈AI, ‘18세 미만 전용 챗GPT’ 이달 말 출시… 부모 통제 기능까지 강화
- 오픈AI, ‘챗GPT 펄스’ 출시…아침 루틴까지 바꾸는 맞춤형 AI 리포트
- 오픈AI, 애플 출신 스타트업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스’ 인수…맥용 AI 인터페이스 ‘스카이’ 챗GPT에 통합
- AI와의 대화, 지워지지 않는다...AI 데이터 논쟁 불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