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MJ 주최 GMAFF 대상작 출신, 한국 AI 영화의 위상 세계로

GMAFF 대상작 오동하 감독의 영화 ‘제로(ZERO)’가 미국과 일본 양대 AI 영화제를 모두 석권하며 한국 AI 영화의 세계적 위상을 다시 한 번 입증했다.

오동하 감독의 영화 '제로(ZERO)'가 일본 AI 영화제(AI Film Festival Japan)에서 베스트 AI 크리틱을 수상했다. 사진=모자이크 필름 제공
오동하 감독의 영화 '제로(ZERO)'가 일본 AI 영화제(AI Film Festival Japan)에서 베스트 AI 크리틱을 수상했다. 사진=모자이크 필름 제공

지난 11월 2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일본 AI 영화제(AI Film Festival Japan)에서 ‘제로’는 AI가 직접 선정한 ‘베스트 AI 크리틱(Best AI Critic)’상을 수상했다. 이는 전 세계 43개국에서 출품된 440편의 작품 중 인공지능 심사 시스템이 평가해 선정한 수상작으로, 기술과 예술의 융합을 상징하는 결과로 주목받고 있다.

일본 AI 영화제는 일본 최초로 인공지능 기반 창작에 특화된 영화제로, ‘AI와 인간의 협업을 통한 새로운 스토리텔링의 시대’를 주제로 전 세계 크리에이터들이 참여해 경계를 허무는 실험적 작품들을 선보이고 있다.

‘제로’는 AI 기술과 인간 서사의 조화, 감정의 깊이를 구현한 대표작으로 평가받으며, 일본 심사 AI로부터 최고점을 받았다. 이번 수상은 지난 10월 미국 할리우드에서 열린 ‘AI 국제영화제(AI International Film Festival)’에서 4관왕을 차지한 데 이어, 일본에서도 최고상을 수상한 것이다.

이로써 오동하 감독은 미국과 일본 양대 AI 영화제를 모두 제패한 최초의 감독이 되었다.

GMAFF 초대 대상 수상작, 제로(ZERO)

‘제로’는 KMJ가 주최한 GMAFF(Global Metaverse & AI Film Festival) 1회에서 대상을 수상한 작품이다. GMAFF는 국내 최초의 메타버스·AI 융합 영화제이자, 한국 AI 창작 생태계의 등용문으로 평가받는다. 이번 일본과 미국 영화제의 연이은 수상은, KMJ가 발굴한 작품이 세계적으로 인정받았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제로’는 노벨문학상 후보 작가 장유와 인공지능 소설가 ‘제로’의 대결을 그린 근미래 SF 드라마로, 인간 창작의 본질과 감정의 진정성을 묻는 작품이다. ‘오징어게임’의 이상희 배우가 주연을 맡았으며, 실사와 AI 기술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영화로 완성됐다.

오동하 감독은 “현재 국내 유명 배우들과 함께 중편 AI 하이브리드 영화, 세로형 숏폼 시리즈, 그리고 장편 AI 프로젝트를 동시에 준비 중”이라며, “한국 AI 영화가 세계의 새로운 표준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싶다”고 밝혔다.

‘제로’는 GMAFF 공식 홈페이지 및 오동하 감독이 대표로 있는 모자이크 필름(Mosaic Film)의 유튜브 채널 ‘채널 모자이크’를 통해 감상할 수 있다.

이번 수상은 한국이 AI 영화라는 새로운 예술 장르의 기술·서사·예술적 리더십을 확보하고 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사건으로 평가된다. 

신주백 기자  jbshin@kmjournal.net

관련기사
저작권자 © KMJ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