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버스 산업 바로보기] ③
정부 지원과 규제 완화, 기술 표준화 등 필요

연재순서

① 누가 메타버스 산업의 침체를 논하는가
② ‘우상향 그래프’ 그리는 메타버스의 미래
③ 한국 메타버스의 발전을 위한 제언

대중들의 생각보다 오랜 기간 동안 메타버스 혹은 가상현실 기술과 플랫폼 등이 발전해온 만큼 그 사례는 한정된 기사와 지면에 일일이 열거하기 어려울 정도로 방대하다. 제조업, 건설, 엔터테인먼트, 의료, 부동산, 도시‧공장관리 등 적용되는 분야 또한 다변화돼 있는 상황이다.

유지상 메타버스얼라이언스 의장(광운대 전자공학과 교수‧전 총장)은 “현재 우리 생활 속에서 경험할 수 있는 메타버스 서비스는 매우 다양하다”며 “인체 해부도나 전기자동차 구성도, 가상의 전장 환경구축 등의 교육용, 훈련용 VR 콘텐츠도 가능하고 AR 단말기를 이용한 AR 서비스도 산업 현장 등에 활용되고 있다”고 언급했다.

게다가 인공지능(AI)이 급격한 발전을 이루며 현재 ICT 산업의 중심에 자리 잡았듯 메타버스의 기술 진보 속도 또한 빠른 상황이다. 과거를 반추하기 보다는 앞으로의 메타버스를 전망하는 것이 더욱 ‘생산적’으로 다가올 수 있는 이유다. 향후 메타버스 기술이 유망하게 활용될 분야가 궁금한 까닭이기도 하다.

이미지=​Google Gemini 생성
이미지=​Google Gemini 생성

김명현 올림플래닛 CTO(최고기술책임자)는 강력한 성장잠재력을 갖고있는 3가지 분야를 꼽았다. 교육과 헬스케어, 디지털 팝업스토어가 그것이다. 김 CTO는 “몰입형 교육이 가능해 학생들의 이해도를 높이고, 원격 학습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XR 기반의 기업 교육, 군사 훈련, 의료 시뮬레이션 등이 점점 더 활성화되고 있다”고 전했다.

XR 기반 가상공간에서 브랜드나 제품, 서비스 등을 홍보‧판매하는 디지털 팝업 스토어의 경우 시간과 공간의 제약없이 전 세계 고객과의 접점을 확대할 수 있고 데이터 기반 마케팅과 성과 분석이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최근 몇 년 새 기업 경영의 필수 화두가 된 ESG 측면에서도 유리하다. 대규모 폐기물 문제를 해소할 수 있고 팝업스토어 준비와 운영, 철거 과정에서의 에너지를 절감하는 효과를 거두기 때문이다.

헬스케어와 관련해선 “메타버스 기술을 활용하면 치료효과를 높이고 의료 접근성을 개선할 수 있어 헬스케어 산업의 중요한 혁신 요소로 자리잡을 것”이라고 봤다. 문효은 ATC 파트너스 대표(前 카카오 부사장) 역시 헬스케어 등 의료분야에서의 메타버스 활용을 언급했다. 원격 수술이나 심리 치료, 재활 치료 등의 분야에서 메타버스의 활용 증대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다.

하지만 장밋빛 전망을 가능한 ‘근미래’로 바꾸기 위해선 다양한 의견들과 시각이 생산적인 방향으로 논의돼야 한다.

글로벌 시장 조사기관인 딜로이트는 지난 2022년 ‘메타버스와 웹3: 넥스트 인터넷 플랫폼’(The metaverse and Web3: The next internet platform)이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통해 몇 가지 과제 포인트를 짚은 바 있다. △블록체인의 확장성 문제 해결 △암호화폐 및 NFT 시장에 대한 규제와 안정성 확보, 데이터 보호 및 프라이버시 문제 해결 △사용자 경험 개선 △보안 및 신뢰 구축 등이 그것이다.

이와는 별개로 코리아메타버스저널은 취재에 응한 전문가들에게 국내 메타버스 산업을 향한 제언을 부탁했다.

수십년간 메타버스를 연구해온 유지상 의장은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강조했다. 그는 “세계 최초로 국가 차원의 메타버스 전략을 수립하는 등 정책을 강화하고 있지만 메타버스 열기가 상대적으로 식으면서 지원금도 대폭 삭감되는 등 방향성이 흔들리는 시기”라고 우려했다.

이어 “신산업이 도입될 때마다 ‘선 허용, 후 규제’ ‘자율규제’ 등의 요구가 (업계로부터)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며 “다행히 지난해 8월 가상융합산업 진흥법이 공표되면서 산업 발전의 토대는 마련됐다”고 언급했다. 강력한 정부의 지원과 산학연 협력이 필요하다는 것이 유 의장의 생각이다.

국내 IT업계 1세대로 불리는 문효은 대표의 생각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문 대표는 “메타버스 산업은 단기적으로 수익성을 증명하기 쉽지 않다. 장기적인 R&D 투자와 생태계 조성이 필요하다”며 “정부 차원의 메타버스 규제 완화 및 기업간 협력이 중요하다”고 제언했다.

국내 메타버스 업계 한 관계자는 보다 구체적인 제언에 나섰다. 우선 “기존 소비자 중심의 메타버스를 넘어 산업, 교육, 의료 등에서의 실질적 활용 사례 확대가 필요하다”고 강조한 그는 “현재 메타버스 플랫폼들은 각각의 독립적인 환경을 갖고 있어 호환성이 부족하다”며 표준화된 기술 마련을 주문했다.

아울러 “AI의 발전은 메타버스 경험을 혁신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며 “AI 기반 가상 인간, AI 챗봇과 연동된 실시간 상호작용 시스템 등이 메타버스를 더욱 현실감 있게 만들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러한 연장선상에서 유 의장은 “서비스의 다양화와 고도화를 위해서는 AI 기술과의 융합도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며 “이 기술들이 고도화되고 융합될 때 진정한 메타버스 서비스가 가능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문용필 기자 eugene@kmjournal.net

저작권자 © KMJ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