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 하루 이용자 120만 명 돌파
지브리 스타일 이미지 확산에 저작권 우려 제기돼

일본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지브리의 화풍을  모방한 챗 GPT 생성 이미지가 유행처럼 퍼지는 가운데 국내 챗GPT 이용자가 크게 증가했다는 데이터가 나왔다. 

1일 연합뉴스와 데이터 플랫폼 기업 아이지에이웍스의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지난달 27일 기준 챗GPT의 국내 일간 활성 이용자 수(DAU)는 125만2925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역대 최대 수치다. 지난달 10일 DAU는 103만3733명으로 처음 100만명을 넘어섰고, 지난달 1일에는 79만9571명이었다.

​챗GPT로 생성한 광화문 광장 이미지 (이미지=챗GPT 생성)​
​챗GPT로 생성한 광화문 광장 이미지 (이미지=챗GPT 생성)​

이용자 증가의 배경에는 오픈AI가 지난달 25일 공개한 ‘챗GPT-4o 이미지 생성’ 기능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 기능은 사용자의 간단한 요청만으로 고해상도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런데 공개 이후 SNS에서는 지브리 애니메이션과 유사한 스타일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이 유행처럼 번졌다. (관련기사: ‘챗GPT-4o’ 인기에 샘 올트먼 “이미지 생성 진정” 호소)

이와 관련, 샘 올트먼 오픈AI CEO는 자신의 소셜미디어(X) 프로필 사진을 지브리 스타일 이미지로 바꾸는가 하면 “사람들이 이미지 모델을 좋아하는 것을 보는 것은 정말 즐겁다”고 언급했다. 

한편,  챗GPT로 생성한 지브리 스타일 이미지가 확산되자 저작권 침해 논란이 일기도 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미국 로펌 ‘프라이어 캐시먼’의 조시 와이겐스버그 변호사는 AP통신과의 인터뷰에서 “그런 훈련을 시킬 수 있도록 라이선스나 승인을 받았느냐는 문제가 제기된다”고 말했다. 그는 “‘하울의 움직이는 성’이나 ‘센과 치히로의 행방’에서 한 프레임을 정지시켜 놓고 구체적 특징들을 골라낼 수 있고, 그 후에 생성형 AI가 내놓은 결과물에서 똑같은 요소나 실체적으로 유사한 요소들을 발견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고한빛 기자 bitta@kmjournal.net

관련기사
저작권자 © KMJ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