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머노이드·피지컬AI 개발 등 담당…5월 AI 생산성 혁신 그룹도 설립
삼성전자가 전사 차원의 인공지능(AI) 과제 전담 조직을 신설했다. 신사업으로 추진 중인 휴머노이드 로봇, 디지털 트윈 설루션, 피지컬(물리적) AI 등의 개발을 가속하기 위한 취지로 풀이된다.
4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 디바이스경험(DX) 부문은 이날 핵심 전략 과제 전담 조직인 ‘이노X 랩(InnoX Lab)’을 신설했다고 사내에 공지했다. ‘이노X’라는 조직명은 ‘이노베이션(Innovation)’과 ‘트랜스포메이션(Transformation)’의 결합어로, 기술 혁신과 조직 변화를 동시에 이끌겠다는 의지가 담겨 있다.
이노X 랩은 AI 시대에 유연한 협업과 빠른 실행을 지향하는 새로운 조직 모델로 출범했다. 전사 차원의 메가 프로젝트를 포함해 각 사업부의 도전적인 전략 과제를 단기간 내 실질적인 성과로 연결하는 실행형 조직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삼성전자는 이날부터 본격적으로 운영을 시작한 이노X 랩이 ▲디지털 트윈 솔루션 적용 및 확산 ▲로지스틱스 AI를 활용한 물류 운영 모델 혁신 ▲피지컬 AI 기반 제조 자동화 추진 ▲휴머노이드 로봇 핵심 기술 개발 등 미래형 과제를 전담하게 된다고 밝혔다.
과제 수행에 필요한 인력은 조직 간 경계를 넘나들며 유연하게 선발·충원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과제 중심의 유기적인 협업 체계를 구축하고, DX 부문 내 핵심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 향후 전사 차원의 메가 과제는 이노X 랩을 통해 본격 추진할 전략이다.
이번 조직 신설은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평소 강조해온 기술 중심 경영 기조와도 맞닿아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 회장은 “기술 중시, 선행 투자의 전통을 이어 나가자”, “세상에 없는 기술로 미래를 만들자”, “첫 번째도 기술, 두 번째도 기술, 세 번째도 기술” 등 기술 경쟁력의 중요성을 수차례 강조해왔다.
이에 따라 이르면 올해 하반기 또는 내년 중 출시가 예상되는 ‘세상에 없는 기술’ 기반의 신제품과 서비스에도 이노X 랩이 핵심적인 역할을 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한편, 삼성전자는 이노X 랩 출범과는 별도로 사내 AI 역량 강화에도 지속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앞서 지난 5월, 임직원의 AI 기반 업무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DX 부문 내에 ‘AI 생산성 혁신 그룹’을 신설한 바 있다. 해당 조직은 전사 AI 인프라와 시스템을 구축하고, AI 활용 실행을 지원하며, 우수 사례를 확산하는 컨트롤타워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각 사업부에는 별도로 ‘AI 생산성 혁신 사무국’도 함께 설치돼, 삼성전자는 AI 드리븐 컴퍼니로의 전환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신주백 기자 jbshin@kmjournal.net
- 삼성전자 레인보우로보틱스, ‘RB-Y1’로 글로벌 휴머노이드 시장 선점 노린다
- 삼성전자 11개월만에 7만원 돌파…테슬라 대규모 수주 영향
- [테크핫템] 손목 위의 AI 트레이너...삼성 갤럭시 워치8
- 삼성, “AI 시대의 기준 다시 쓴다”…‘갤럭시 Z 폴드7’과 ‘플립7’ 뉴욕서 공개
- [테크핫템] 삼성 XR 안경 ‘프로젝트 무한’…“현실 너머의 AI 경험 시작된다”
- 한국, 피지컬 AI 주도권 노린다...국내 기업들 ‘움직이는 AI’ 상용화 경쟁 본격화
- 삼성전자·KAIST·POSTECH, 美 DARPA AI 사이버 챌린지 우승
- 삼성전자, 갤럭시에 AI 보이스피싱 탐지 기술 적용
- 삼성, 갤럭시 S26에 퍼플렉시티 AI 탑재…구글 제미나이 대체한다
- 삼성전자, 자체 AI 성과지표 ‘트루벤치’ 공개…다국어·실무형 벤치마크로 글로벌 정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