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클래식 작품을 실감나는 'KMJ 뮤지엄'의 XR 공간에서 만나보세요.
친절한 도슨트와 함께 이제 '주말엔 아트'입니다.
미스터리한 눈빛, 그 속에 숨겨진 이야기
이 그림의 매력은 바로 ‘미스터리’에 있습니다. 알려진 정보가 적을수록 보는 이의 상상력은 더 커지기 마련입니다. 작품 속 소녀는 이름도, 배경도 알려지지 않았죠.
누구나 자신만의 이야기를 그녀에게 덧입힐 수 있다는 점이, 이 그림이 오랫동안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아온 이유 중 하나입니다.
그리고 이 매력을 한층 더 깊게 만드는 비밀이 있습니다.
작품명: 진주 귀고리를 한 소녀
작가: 요하네스 페르메이르
제작 연도: 1665년경
기법: 캔버스에 유화
크기: 44.5 x 39 cm
소장처: 네덜란드 마우리츠하위스 미술관
빛의 마법, 자신을 향한 스포트라이트
이 그림은 소녀의 신원이 분명하지 않아 인물화 중에서도 '트로니'에 속하는 작품으로 추정됩니다. 트로니란 실제 인물을 모델로 삼지 않고 가상의 인물을 표현하는 그림을 말하며, 종종 독특하거나 도전적인 소품을 사용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페르메이르는 이 작은 그림에 빛의 마법을 불어넣었습니다. 검은 어둠 속에서 오직 빛만이 그녀를 비추고 있죠. 빛이 그녀를 비추자, 그 당시 금보다 비쌌다는 울트라 마린 블루로 그려진 동양풍 파란색 터번이 가장 먼저 보입니다.
실제로 존재했는지 확실하지 않은 이 소녀에게 이렇게 값비싼 안료를 사용했다는 점이 더욱 큰 궁금증을 자아냅니다.
그리고 그 밑으로 보이는 그녀의 얼굴에 드리워진 섬세한 명암, 무언가를 말하려는 듯 살짝 벌어진 입술, 그리고 결정적으로 고급스러워 보이는 진주 귀고리는 페르메이르만의 기술을 보여줍니다. 진주 귀고리에 반사된 빛은 한 점의 하얀 물감으로 표현되었는데, 이 간결하지만 섬세한 터치가 그림 전체에 생생한 생명력을 불어넣습니다.
페르메이르는 이러한 빛의 대비와 자신만의 연출을 통해, 평범한 한 소녀에게 특별하고 신비한 매력을 불어넣었고 세계적으로 유명한 존재로 만들었습니다.
이름 없는 존재감, 영원한 신비
이 소녀에게는 '북유럽의 모나리자'라는 별명이 있습니다. 모나리자처럼 눈썹이 없고, 그녀의 미소만큼이나 표정이 신비롭기 때문이죠. 살짝 놀란 듯한 눈, 반짝이는 진주 귀고리, 뭔가 할 말이 있는 듯 살짝 벌어진 입술까지. 사람들은 이 알 수 없는 표정에 눈을 떼지 못했습니다.
결국 이 그림은 강한 빛의 대비, 당시 귀하디 귀한 울트라마린 물감, 그리고 빛을 받아 반짝이는 진주 귀고리를 통해 만들어진 소녀만의 독보적인 신비로운 존재감으로 전 세계적인 명성을 얻게 되었습니다.
정소희 인턴기자 jshee417@gmail.com
- [주말엔 아트] 피카소의 '우는 여인', 그녀는 누구이며 왜 울고 있을까?
- [주말엔 아트] 피카소의 '게르니카'가 던진 질문, 지금 당신의 전쟁은 무엇인가요?
- [주말엔 아트] AI 시대, 피카소 ‘아비뇽의 아가씨들’의 메시지
- [주말엔 아트] 살바도르 달리의 ‘코끼리’
- [주말엔 아트] 클로드 모네의 ‘수련’
- [주말엔 아트] 클로드 모네의 ‘파라솔을 든 여인’
- [주말엔 아트] 클로드 모네의 ‘인상, 해돋이’
- [주말엔 아트] 빈센트 반 고흐 - ‘까마귀가 나는 밀밭’
- [주말엔 아트] 빈센트 반 고흐의 ‘별이 빛나는 밤’
- [주말엔 아트] 피카소까지 의심받았다… 다 빈치의 '모나리자' 도난 스토리
- [주말엔 아트] 공학자가 붓을 들면? 다 빈치가 남긴 ‘최후의 만찬’의 비밀
- [주말엔 아트] 왜 하필 족제비일까?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흰 족제비를 안은 여인'
- [주말엔 아트] 가리고 있는 오른손의 비밀은? 클림트의 '아델레 블로흐 바우어의 초상 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