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클래식 작품을 실감나는 'KMJ 뮤지엄'의 XR 공간에서 만나보세요.
친절한 도슨트와 함께 이제 '주말엔 아트'입니다.
전쟁의 상처, 절망의 시대
이 그림이 탄생한 1937년은 스페인 내전의 피로 물든 참혹한 시기였습니다. 피카소는 앞서 그린 '게르니카'를 통해 전쟁의 야만성에 대한 분노를 표출했죠.
그런데 그 거대한 그림 속에서 미처 다 담지 못한 고통과 슬픔, 즉 전쟁이 남긴 개인의 내면적 상처는 이 작은 캔버스에 응축되어 나타났습니다.
우는 여인은 게르니카의 직접적인 후속작이자, 전쟁으로 인해 모든 것을 잃은 사람들의 무너진 심리를 클로즈업한 작품이라 할 수 있습니다.
작품명: 우는 여인 (The Weeping Woman)
작가: 파블로 피카소
제작 연도: 1937년
기법: 캔버스에 유화
크기: 61 x 50 cm
소장처: 런던 테이트 모던 갤러리
천재의 연인들, 예술에 영혼을 불어넣다
너무나 유명한 피카소의 '우는 여인' 속 인물, 과연 누구일까요?
파블로 피카소의 작품 세계는 그의 삶, 특히 그를 둘러싼 여인들의 영향을 깊이 받았습니다. 이 작품의 모델은 피카소의 연인이자 사진작가였던 도라 마르입니다.
그녀는 지적이고 강렬한 성격의 소유자였고, 피카소의 삶과 예술에 깊은 영향을 미쳤습니다. 특히 게르니카의 비극적인 메시지에 공감하며 함께 슬퍼했던 도라 마르의 모습은 피카소에게 이 작품의 영감을 주었죠. 그녀의 초상은 전쟁의 비극을 온몸으로 겪어내야 했던 모든 이들의 슬픔을 상징하는 거울이 되었습니다.
무너진 얼굴, 찢겨진 비명
이 여인의 얼굴은 그저 슬픔을 표현하는 데 그치지 않습니다. 피카소의 입체주의 기법을 통해 그녀의 얼굴은 마치 깨진 거울처럼 여러 조각으로 해체되어 있습니다.
이 혼란스러운 형상은 당시 스페인 내전의 폭격으로 모든 것이 산산이 부서진 참혹한 현실을 고스란히 반영합니다. 평온했던 일상이 한순간에 파괴된 것처럼, 여인의 얼굴 역시 여러 각도에서 동시에 바라본 듯 뒤틀려 있죠. 정면과 측면이 뒤섞여 있고, 눈동자와 턱의 위치가 제멋대로 흩어져 있습니다.
여인의 눈에서 흐르는 눈물은 마치 날카로운 칼날처럼 뺨을 가로지르며, 그녀의 내면에서 폭발하는 고통을 시각적으로 보여줍니다.
굳게 다문 채 손수건을 물고 있는 입술 형태는, 소리 없는 비명을 대신하여 우리에게 전달하는 절규의 메아리입니다. 그녀의 손수건과 입가는 녹색의 피부와 달리 하얗게 분리되어 슬픔의 감정을 부각하고 있습니다. 고통에 못 이겨 뒤틀린 손가락은 전쟁이 남긴 물리적, 정신적 상흔이 얼마나 처참한지를 극적으로 보여줍니다.
이 모든 왜곡된 형태와 강렬한 색채는 전쟁이라는 폭풍이 한 개인의 삶과 영혼을 어떻게 파괴했는지를 처절하게 보여줍니다. 이 그림은 바로 시대의 고통이 한 인간의 얼굴에 새겨진 초상화입니다.
고통을 넘어, 인류의 양심을 일깨우다
이 작품은 인류의 비극에 대한 예술가의 연대와 양심을 보여주는 중요한 증거입니다. 피카소는 한 여인의 슬픔을 통해 인간의 보편적인 고통을 표현하며, 다시는 이러한 비극이 반복되지 않기를 바라는 강렬한 메시지를 담았습니다.
정소희 인턴기자 jshee417@gmail.com
- [주말엔 아트] 피카소의 '게르니카'가 던진 질문, 지금 당신의 전쟁은 무엇인가요?
- [주말엔 아트] AI 시대, 피카소 ‘아비뇽의 아가씨들’의 메시지
- [주말엔 아트] 살바도르 달리의 ‘십자가의 성 요한의 그리스도’
- [주말엔 아트] 살바도르 달리의 ‘코끼리’
- [주말엔 아트] 클로드 모네의 ‘파라솔을 든 여인’
- [주말엔 아트] 클로드 모네의 ‘인상, 해돋이’
- [주말엔 아트] 테오도르 제리코의 ‘메두사호의 뗏목’
- [주말엔 아트] 빈센트 반 고흐 - ‘까마귀가 나는 밀밭’
- 현실과 상상이 맞닿는 순간… XR로 만난 김대성의 예술 세계
- [주말엔 아트] 페르메이르의 '우유 따르는 여인' 속 평범하지만 가치있는 갓생 이야기
- [주말엔 아트] 페르메이르의 '진주 귀고리를 한 소녀', 진주에만 집중하면 놓치는 인기의 이유
- [주말엔 아트] 페르메이르의 '저울질을 하는 여인', 그녀는 왜 넘치는 보석을 저울 위에 올리지 않았을까?
- [칼럼] 프리즈·키아프, 4일의 열기를 365일로
- [주말엔 아트] 피카소까지 의심받았다… 다 빈치의 '모나리자' 도난 스토리
- [주말엔 아트] 사물의 ‘진짜’ 형태란 무엇일까?...폴 세잔의 ‘사과와 오렌지’
- [주말엔 아트] 본질을 보기 위한 그의 노력은 바로... 폴 세잔의 '생트 빅투아르 산'
- [주말엔 아트] 묘사를 생략하자 드러난 것은? 폴 세잔의 '카드놀이 하는 사람들'
- [주말엔 아트] 고갱이 인상주의를 버리고 찾은 색, '타히티의 여인들'
- [주말엔 아트] 단색 배경, 스튜디오 사진 같은 이그림... 마네의 '피리 부는 소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