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클래식 작품을 실감나는 'KMJ 뮤지엄'의 XR 공간에서 만나보세요.
친절한 도슨트와 함께 이제 '주말엔 아트'입니다.
우리는 끝없는 경쟁 속에서 더 큰 집, 더 좋은 차, 더 높은 연봉을 향해 달립니다. 통장은 조금씩 불어나지만, 정작 마음은 점점 메말라 가는 걸 느끼죠. 마치 주문할 땐 그렇게 설레던 택배가, 막상 도착하니 열어보기도 귀찮아진 순간처럼 말입니다.
그때 비로소 우리는 물질적 풍요와 정신적 풍요를 저울질하며, 삶의 진정한 가치란 무엇인가를 고민하게 됩니다.
작품명: 저울질을 하는 여인
작가: 요하네스 페르메이르
제작 연도: 1664년경
기법: 캔버스에 유화
크기: 40.3 x 35.5 cm
소장처: 미국 워싱턴 D.C. 국립미술관
황금기의 딜레마, 새로운 욕망의 탄생
이 그림이 그려진 17세기 네덜란드는 '황금기'라 불리며 전례 없는 경제적 번영을 누리던 시기였습니다. 무역과 상업으로 막대한 부를 쌓았고, 사람들은 돈과 물질적 풍요에 대한 욕망에 휩싸였습니다. 이 시기, 페르메이르는 화려한 부의 축제 대신, 인간의 내면적 갈등과 영적인 가치에 주목했습니다.
삶의 무게를 묻는, 침묵의 저울질
창문에서 쏟아지는 눈부신 빛이 한 여인을 비추고 있습니다. 그녀는 부유해 보이는 털옷을 두른 채, 머리에 흰 천을 쓴 모습이 경건해 보입니다.
책상 위에는 진주와 금화 등 반짝거리는 것들이 가득하지만, 여인의 손에는 아무것도 올려져 있지 않은 빈 저울이 들려 있습니다. 그녀의 표정은 평온하고 고요하며, 시선은 오직 저울에만 머물러 있습니다.
여인 뒤편의 벽에는 ‘최후의 심판’ 그림이 걸려 있습니다. 이 그림은 인간이 살아온 모든 행위에 대한 심판을 상징합니다. 그림의 배경을 통해 마치 그녀가 물질적인 것과 영적인 것, 일과 삶, 돈과 행복 사이에서 어떤 것이 더 가치 있는 것인지 조용히 저울질하고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그녀의 절제된 동작과 고요한 표정은 우리의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빈 저울에 무엇을 올릴 것인지 질문하는 듯 합니다.
빈 저울, 진정한 가치를 찾아서
저울질을 하는 여인이 전하는 메세지는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풍요로운 현대에서 무엇을 저울질하며 살것인가? 우리는 종종 경쟁 속에서 돈과 성공이라는 무게에 치우쳐, 정작 소중한 것들을 잃은 채 살아가기 때문입니다.
그녀는 텅 빈 저울을 통해, 진정한 가치는 눈에 보이지 않는 곳에 존재하며, 오직 스스로의 내면을 들여다볼 때만 발견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합니다.
가치 있는 것은 눈에 보이지 않는 법임을, 그리고 진정한 균형은 외부가 아닌 내면에서 찾아야 한다는 사실을 이 그림은 조용히 일깨워줍니다.
정소희 인턴기자 jshee417@gmail.com
- [주말엔 아트] 피카소의 '우는 여인', 그녀는 누구이며 왜 울고 있을까?
- [주말엔 아트] 피카소의 '게르니카'가 던진 질문, 지금 당신의 전쟁은 무엇인가요?
- [주말엔 아트] 살바도르 달리의 ‘십자가의 성 요한의 그리스도’
- [주말엔 아트] 살바도르 달리의 ‘코끼리’
- [주말엔 아트] 클로드 모네의 ‘수련’
- [주말엔 아트] 클로드 모네의 ‘파라솔을 든 여인’
- [주말엔 아트] 클로드 모네의 ‘인상, 해돋이’
- [주말엔 아트] 공학자가 붓을 들면? 다 빈치가 남긴 ‘최후의 만찬’의 비밀
- [주말엔 아트] 왜 하필 족제비일까?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흰 족제비를 안은 여인'
- [주말엔 아트] 가리고 있는 오른손의 비밀은? 클림트의 '아델레 블로흐 바우어의 초상 I'
- [주말엔 아트] 임산부와 해골을 함께 그린 사연은... 클림트의 '희망 II'
- [주말엔 아트] 명절 모임이 떠오르는 18세기 아이들 모습, 김홍도의 '서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