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가 로봇의 두뇌 역할을 하는 신형 칩 모듈 ‘젯슨 AGX 토르’를 25일(현지시간) 출시했다. 젯슨 토르는 물리 세계에서 작동하는 ‘피지컬 AI’에 최적화된 제품으로 로봇의 두뇌 역할을 한다. 

젯슨 AGX 토르  사진=엔비디아
젯슨 AGX 토르  사진=엔비디아

오린에서 토르로…로봇 두뇌, 세대교체

엔비디아가 한 단계 진화한 로봇용 AI 칩을 선보이며 로보틱스 시장을 다시 흔들고 있다. 기존 ‘젯슨 오린’이 경량 연산에 적합한 ‘실험형 두뇌’였다면, 새롭게 공개된 ‘젯슨 AGX 토르’는 본격적인 산업 현장과 휴머노이드에 투입될 ‘실전형 두뇌’다.

성능은 전작보다 최대 7.5배 향상, CPU는 3.1배 빨라졌고, 메모리 용량도 128GB로 두 배 늘었다. 이제 로봇은 단순한 자동화 기계를 넘어, 주변을 인식하고 스스로 판단하는 ‘자율적 존재’로 진화할 기반을 갖추게 됐다.

“챗GPT 처음 봤을 때 같다”…온디바이스 LLM, 그 충격의 정체

토르가 진짜 주목받는 이유는 따로 있다. 이제는 클라우드로 데이터를 보내 AI 연산을 기다릴 필요 없이, 로봇 내부에서 곧바로 LLM과 시각·행동 모델을 구동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 칩에는 엔비디아의 최신 GPU 아키텍처인 블랙웰이 탑재됐고, 이를 통해 로봇이 대규모 언어모델(LLM), 시각언어모델(VLM), 행동모델까지 통합적으로 실시간 처리할 수 있다. 한마디로, 인터넷 없이도 현장에서 즉각 반응하고 판단하는 AI 로봇이 가능해졌다는 의미다.

젠슨 황 CEO가 “로보틱스에서도 챗GPT 같은 순간이 곧 올 것”이라며 흥분을 감추지 않은 이유가 여기 있다.

실험실을 넘어 산업 현장으로…젯슨 토르의 진짜 무대

토르는 이제 막 연구소를 벗어난 신형 칩이 아니다. 이미 보스턴다이내믹스, 어질리티 로보틱스, 아마존로보틱스 같은 글로벌 로봇 기업들이 활용하고 있다.

미국 로봇 스타트업 피규어AI는 이 칩을 기반으로 학습하고 환경에 적응하는 진짜 ‘생각하는 휴머노이드’를 개발 중이며, 캐터필러는 자율주행 중장비에 탑재해 테스트를 진행 중이다.

피규어AI의 휴머노이드 로봇의 동작 모습  이미지=피규어AI
피규어AI의 휴머노이드 로봇의 동작 모습  이미지=피규어AI

엔비디아는 로봇 자체를 만들진 않는다. 하지만 두뇌(칩)와 신경망(소프트웨어 플랫폼)을 제공함으로써, MS가 윈도우로 PC 생태계를 장악했던 것처럼 로봇 생태계의 운영체제가 되려는 전략을 취하고 있다.

한국 반도체 업계도 주목해야 할 신호

이 변화는 한국 반도체 기업에도 기회다. 젯슨 토르에 탑재되는 차세대 메모리 모듈 소캠(SOCAMM)은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과 공동 개발 중이다.

소캠은 기존 고대역폭 메모리(HBM)보다 전력 효율이 높고, 교체도 가능해 로봇처럼 전력 효율이 중요한 시스템에 안성맞춤이다. 피지컬 AI 시대가 열릴수록, AI GPU를 넘어 로봇용 메모리 시장도 K-반도체의 새 격전지가 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젯슨 토르 + 파운데이션 모델 = 로봇 생태계의 인프라 장악

엔비디아는 젯슨 토르 칩뿐만 아니라 코스모스(Cosmos)와 아이작 GR00T라는 로봇 전용 파운데이션 모델도 함께 공개했다.

코스모스는 센서와 카메라로 들어온 데이터를 이해하고, 아이작은 이를 기반으로 행동 계획을 세운다. 젯슨 토르는 이 두 모델을 로봇 안에서 직접 실행할 수 있게 하면서, 연구-개발-양산을 잇는 완성형 로봇 개발 사이클을 만들었다.

아직 전체 매출 중 로봇 부문의 비중은 1% 남짓이다. 하지만 최근 분기 기준, 전년 대비 72% 성장이라는 수치를 보면 이 시장의 가파른 상승 곡선은 이제 시작일 뿐이다.

젠슨 황의 말처럼, 이제 남은 건 수억 대의 로봇이 엔비디아 생태계 위에서 ‘살아 움직이는 일’이다. 그리고 젯슨 토르는 그 미래의 ‘두뇌’가 될 준비를 마쳤다.

신주백 기자  jbshin@kmjournal.net

관련기사
저작권자 © KMJ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