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백한 오류이자 왜곡…시급히 수정해야” 서경덕 교수, 어도비에 항의

어도비 포토샵 생성형 이미지에 'Hanbok'을 검색한 결과.  사진=서경덕 교수 제공
어도비 포토샵 생성형 이미지에 'Hanbok'을 검색한 결과.  사진=서경덕 교수 제공

글로벌 소프트웨어 기업 어도비(Adobe)의 생성형 인공지능(AI) 이미지 기능에서 ‘한복(Hanbok)’을 검색할 경우 일본 전통 의상 이미지가 다수 노출되는 오류가 발견돼 논란이 일고 있다.

4일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최근 일부 이용자들의 제보를 통해 포토샵 생성형 AI에서 ‘한복’을 한글 또는 영문으로 검색할 경우, 한국 전통 복식과 무관한 일본식 의상 이미지들이 출력되는 사례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에 서 교수는 어도비 본사 측에 공식 항의 메일을 전달하고 “이는 단순한 착오를 넘어선 명백한 문화 왜곡”이라며 “즉각적인 시정 조치를 요구한다”고 촉구했다. 해당 메일에는 한복을 올바르게 소개하는 영상 자료도 함께 첨부됐다.

AI 이미지의 문화 편향 문제, 글로벌 플랫폼 책임론 제기

서 교수는 “전 세계적으로 많은 사용자가 이용하는 플랫폼인 만큼, 이 같은 오류는 자칫 한복에 대한 국제적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며 “AI 기술의 특성상 학습 데이터가 잘못 구성되면 문화적 편향이 고착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특히 “최근 중국이 한복이 자국 전통 의상인 ‘한푸(漢服)’에서 기원했다는 주장을 지속적으로 펼치는 상황에서, 글로벌 플랫폼에서의 잘못된 시각 노출은 한국 문화 정체성에 심각한 타격을 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

“AI 정확성 이전에 문화 감수성 필요”

전문가들은 이번 사례가 단순한 기술적 오류를 넘어 AI 데이터 구성의 불균형과 문화적 민감성 결여에서 비롯된 구조적 문제라고 분석한다.

AI가 특정 문화권의 전통 요소를 인식할 때, 서구 중심의 편향된 데이터셋을 기반으로 학습하면서 잘못된 결과물을 생성하는 일이 반복되고 있다는 것이다.

서 교수는 “한복은 한국을 대표하는 고유 전통문화유산”이라며 “세계인이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한복을 접하는 만큼, 더욱 정확하고 신중한 정보 제공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신주백 기자  jbshin@kmjournal.net

관련기사
저작권자 © KMJ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