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 화재가 멈춰 세운 전자정부

9월 26일 밤,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전산실 5층에서 발생한 화재는 전자정부 서비스 전반을 마비시켰다.

발화 원인은 무정전 전원장치(UPS)에 사용된 리튬이온 배터리였으며, 화염은 서버실 장비를 삼켜 정부의 핵심 정보시스템 647개가 동시에 멈춰섰다. 인터넷 우체국 예금, 모바일 신분증, 복지·관세·의료 서비스까지 광범위하게 중단되면서 국민 생활 전반에 직접적인 피해가 발생했다.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인해 불에 탄 리튬이온 배터리가 소화수조에 담겨 있다. 사진=연합뉴스

9월 28일, 첫 복구 성과…우체국 금융 서비스 중심

화재 발생 이틀 만인 28일 오후 10시, 행정안전부는 중단된 시스템 중 30개가 복구됐다고 밝혔다.

복구율은 전체의 5%에 불과했지만 국민 생활과 직결된 분야가 우선 복구 대상에 포함됐다. 우체국 인터넷 예금, 스마트 예금, 금융상품몰, 인터넷보험, 스마트보험 등 금융 핵심 서비스가 재가동됐으며, 모바일 신분증과 보건의료 빅데이터 시스템, 노인 맞춤형 돌봄 서비스도 다시 운영을 시작했다.

관세청 대표 홈페이지와 국무총리실 국정관리 시스템 등 주요 행정 서비스 역시 정상화되며 정부는 “국민 불편 최소화”에 방점을 찍었다.

9월 29일 오전, 추가 9개 복구…총 39개 서비스 가동

29일 오전 7시 기준, 복구된 시스템은 총 39개로 늘어났다.

이날 추가 복구된 9개 서비스에는 긴급성과 공공안전성이 높은 시스템이 포함됐다. 소방청은 119 다매체 신고시스템과 국가화재정보시스템(부분 복구)을 되살렸고, 환경부는 온실가스 인벤토리를 복구했다.

행안부는 디지털원패스와 전자문서 진본확인시스템을 정상화했으며, 관세청은 빅데이터 포털의 대민·내부행정 서비스를 다시 열었다. 과기정통부의 인터넷 영업지원 시스템과 복지부의 유니모 포털도 재가동에 들어가면서 복구율은 6%로 소폭 상승했다.

2~4층 서버는 순차 복구, 5층은 장기화 불가피

행정안전부는 복구 작업을 서비스 중요도에 따라 단계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화재 피해가 직접 미치지 않은 2~4층 전산실의 511개 시스템은 순차적으로 정상화가 가능하다는 전망이다.

그러나 불길이 발생한 5층 서버에 위치한 96개 시스템은 상황이 다르다. 하드웨어 교체와 소프트웨어 재설치가 동시에 이뤄져야 하는 만큼, 복구까지 최소 2주 이상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정확한 복구 일정을 제시하지 못한 채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다.

정부, “투명하게 상황 공유하겠다” 강조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국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투명하게 상황을 공유하고, 업무 연속성을 유지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국회와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국가 핵심 전산 인프라의 이중화 부족과 재해 대응 체계의 미비가 이번 사태를 키웠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9월 29일 오전 7시 기준 복구 현황

전체 중단 서비스 647개
복구 완료 서비스 39개 (28일 30개 → 29일 새벽 9개 추가)
복구율 약 6%
우선 복구 분야 우체국 금융, 모바일 신분증, 소방·복지·관세 등 핵심 서비스

금융·경제 분야 (8개)

우체국금융: 인터넷예금, 스마트예금, 금융상품몰, 인터넷보험, 스마트보험

기재부: 디브레인

금융위: FIU 심사분석, FIU 홈페이지

▶국민이 체감하는 금융 서비스 복구에 가장 먼저 속도가 붙었다. 우체국 금융 5종과 국가 재정 관리 시스템이 살아나면서 최소한의 금융 접근성이 확보됐다.

■ 행정·인증 분야 (10개)

행안부: 모바일신분증(DR, 발급 불가), LDAP, 문서유통시스템, 복합인증시스템, 정부암호이용시스템, 모바일메시지시스템, GIS 기반 통합시스템(대민), GIS 기반 통합시스템(행정), 디지털원패스, 전자문서 진본확인시스템

국무총리실: 국정관리시스템

▶공공행정의 기반이 되는 인증·문서·GIS 시스템들이 복구되면서 최소한의 정부 업무 연속성이 유지되고 있다. 다만 모바일신분증은 발급 기능은 여전히 제한적이다.

■ 복지·의료 분야 (5개)

복지부: 보건의료빅데이터시스템, 노인맞춤형 돌봄시스템, 취약노인지원시스템, 유니모 포털

통계청: 통계데이터센터

▶의료·복지 데이터 기반 시스템이 복구되며 취약계층 지원과 의료 분석 서비스 일부가 재개됐다. 국민 생활 안정에 필수적인 복지 행정이 점차 회복되는 중이다.

■ 안전·소방·해양 분야 (4개)

소방청: 119 다매체 신고시스템(경찰문자 제외), 국가화재정보시스템(부분 복구)

해수부: 해운항만물류정보시스템, 해양안전종합정보

▶국민 안전과 직결되는 소방·해양 시스템 복구는 가장 중요한 성과다. 화재·재난 대응과 해양 물류 관리가 정상화되며 위기 대응 능력이 일부 회복됐다.

■ 환경·관세·과기 분야 (12개)

환경부: 매출권 등록시스템, 상세등록부시스템, 온실가스 종합정보센터, 온실가스 인벤토리

관세청: 대표홈페이지, 내부정보통합, 국회답변, 빅데이터 포털(대민), 빅데이터 포털(내부행정)

과기정통부: 학사행정, 인터넷 FC 영업지원

▶환경과 관세, 과기정통 분야 시스템도 순차적으로 복구됐다. 특히 온실가스 관련 시스템과 관세청 빅데이터 포털은 대내외 정책과 무역 활동에 중요하다.

신주백 기자  jbshin@kmjournal.net

저작권자 © KMJ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