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핵심 전산망이 아마추어 작업에 맡겨진 충격

28일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현장에서 합동감식을 위해 소방, 경찰, 국립과학수사연구원 관계자들이 이동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28일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현장에서 합동감식을 위해 소방, 경찰, 국립과학수사연구원 관계자들이 이동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무정전전원장치 배터리 이전, 비전문 업체와 알바생 동원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의 원인으로 지목된 무정전전원장치(UPS) 배터리 이전 작업이 비전문 업체와 아르바이트 인력에 의해 진행됐던 사실이 드러났다. 단순한 사고가 아니라, 총체적 부실과 관리 실패가 불러온 인재라는 지적이 거세다.

전자신문 보도에 따르면 작업을 맡은 대전 소재 A사는 영세한 통신 설비 업체로, 전문성이 부족한 상태에서 전기 작업까지 병행했다. 리튬이온 배터리는 작은 충격에도 폭발 위험이 있어 고도의 전문성과 안전 규정 준수가 필수적이지만, 실제 현장에는 비숙련 인력인 아르바이트생들이 운반과 설치 보조에 투입됐다.

리튬이온 배터리, 왜 ‘시한폭탄’이라 불리나

리튬이온 배터리는 에너지 밀도가 높아 취급 과정에서 작은 오차만 있어도 발열·폭발로 이어질 수 있다. 그만큼 설치·이전·운영 전 과정에서 전문 인력이 안전 규정을 엄격히 따라야 한다.

그럼에도 국정자원 현장에서는 관련 지식이 전혀 없는 단기 아르바이트생들이 위험천만한 작업에 참여했다. 업계 고위 관계자는 “폭발물을 다루는 작업에 비숙련 인력이 투입됐다는 건 상상조차 할 수 없는 일”이라며 혀를 내둘렀다.

최저가 입찰의 덫, 국가 전체가 마비됐다

결국 책임은 정부에도 돌아간다. 국정자원이 업체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전문성과 안전성을 제대로 검증했는지, 위험한 작업 환경을 방치했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다.

한 IT 서비스 업계 관계자는 “이런 사업은 기술력과 안전 관리 능력을 최우선으로 평가해야 한다”며 “그러나 최저가 입찰 방식으로 인해 자격 미달 업체가 선정됐을 가능성이 크다. 비용을 아끼려다 국가 전체 시스템이 마비된 것”이라고 꼬집었다.

정부 관계자조차 “당시 작업 현장에 정부 측 감독관이 있었는지 확실치 않다”고 말해, 관리·감독의 공백이 있었음을 사실상 인정했다.

신주백 기자  jbshin@kmjournal.net

관련기사
저작권자 © KMJ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