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전산망 복구 일정부터...대안 사이트까지 총 정리

정부 전산시스템이 있는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무정전·전원 장치(UPS)용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가 발생해 정부 전산 서비스가 대규모로 마비됐다. 사진=연합뉴스
정부 전산시스템이 있는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무정전·전원 장치(UPS)용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가 발생해 정부 전산 서비스가 대규모로 마비됐다. 사진=연합뉴스

데이터센터 불길, 어떻게 시작됐나

2025년 9월 26일 금요일 오후 8시 20분경.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이하 국정자원) 5층 전산실에서 갑작스러운 폭발음이 울렸다. 배터리 교체를 위해 전원을 차단하던 작업 중 리튬이온 배터리 팩이 폭발하면서 화마가 전산실을 집어삼켰다.

문제는 단순 화재가 아니었다. 여기는 정부 핵심 전산망을 운영하는 곳, 말 그대로 국가 전산의 심장부였다. 불길이 치솟자 소방대는 즉시 투입됐지만, 리튬이온 배터리 특유의 열폭주 현상 때문에 진화는 쉽지 않았다. 이산화탄소 소화기로는 불길이 잡히지 않았고, 대량의 물을 쓸 수도 없었다. 자칫하면 옆 서버와 스토리지의 데이터가 영영 사라질 수 있었기 때문이다.

22시간의 사투…배터리 384팩 전소

화재는 밤새 이어졌다. 섭씨 160도까지 치솟은 전산실, 곳곳에서 폭발음이 이어졌고 소방대원들은 배연과 냉각 작업에 매달렸다. 결국 9월 27일 새벽 6시 30분 초진, 같은 날 오후 6시 완전 진화까지 꼬박 22시간의 사투 끝이었다.

그 사이 배터리팩 384개는 모두 전소했고, 전산실 내부 서버 상당수가 고온에 장시간 노출되면서 복구 가능성조차 불투명해졌다. 정밀 조사 결과 96개 시스템은 직접 피해를 입은 것으로 확인됐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소방대원이 불에 탄 배터리를 옮기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소방대원이 불에 탄 배터리를 옮기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정부 서비스 멈추다...647개 시스템 차단

피해를 키운 건 단순히 불길이 아니었다. 전산실 항온·항습 장치가 고장 나자 국정자원은 최악의 데이터 손상을 막기 위해 본원 내 647개 시스템 전원을 선제 차단했다.

이 중 대국민 서비스 436개가 멈췄다. 정부24, 모바일 주민등록증, 국민신문고, 온나라시스템이 동시에 정지했고, 심지어 우정사업본부의 인터넷우체국·예금·보험·ATM 서비스까지 먹통이 됐다. 추석 물량이 몰리는 시기라 우편 대란 우려까지 현실화됐다.

28일까지 네트워크 복구에 총력

9월 27일 저녁, 현장을 찾은 김민석 국무총리는 “이제부터는 복구 체제”라고 못 박았다. 그는 “내일까지 네트워크 장비 복구를 완료하고, 국민 생활과 직결된 서비스부터 최대한 빨리 정상화하라”고 지시했다. 동시에 “완전 복구 시점을 단정하기 어렵다”며 국민에게 거듭 사과했다.

행정안전부는 항온·항습기와 네트워크 장비를 복구해 피해를 피한 551개 시스템부터 단계적으로 재가동하겠다고 밝혔다. 직접 피해 96개 시스템은 대구센터의 민관협력형 클라우드로 이전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반복되는 경고...이번에도 배터리 화재?

이 장면은 어딘가 낯익다. 2022년 카카오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도 원인은 달랐지만, 결과는 비슷했다. 서버가 멈추고 국민 서비스가 동시다발적으로 정지되며 사회적 혼란이 발생했다. 그때도 “배터리·전원 시스템 안전성을 강화해야 한다”는 경고가 쏟아졌다. 하지만 3년 뒤, 이번엔 국가 전산센터가 똑같은 약점을 드러낸 셈이다. 

리튬이온 배터리 기반 전원 시스템의 위험성과, 본원 장애 시 분산센터·클라우드로의 즉각 전환 실패가 반복적으로 드러난 것이다.

전문가들은 “데이터센터 화재는 전기화 사회에서 더는 이례적 사건이 아니다. 진짜 문제는 ‘불이 나는 것’이 아니라 ‘불이 나도 끊기지 않아야 할 서비스’가 한순간에 멈췄다는 점”이라고 입을 모았다. 

타임라인 요약

날짜/시간 주요 사건·조치 비고
9월 26일(금) 20:20경 대전 유성구 국정자원 본원 5층 전산실 리튬이온 배터리 폭발·화재 발생 무정전·전원 장치(UPS) 교체 작업 중 전원 차단 상태에서 발화
9월 27일(토) 06:30경 약 10시간 만에 초진(큰 불길 잡음) 배연·냉각·배터리 반출 작업 지속
9월 27일(토) 오전~낮 정부 전산망 장애 지속: 647개 시스템(대국민 436·내부 211) 차단 정부24·모바일 신분증·국민신문고·온나라시스템·우정사업본부 서비스 중단
9월 27일(토) 07:40 행정안전부, 국민 안내문 발표- 대면 민원처리 주의·대체 사이트 안내 (아래 대체 서비스 표 참조)
9월 27일(토) 오후 행안부, 중대본 회의- 항온항습기·네트워크 장비 28일까지 복구 목표 발표 피해 시스템 96개는 대구센터 ‘민관협력형 클라우드(PPP)’로 이전 검토
9월 27일(토) 18:00경 화재 완전 진화(22시간만) 선언 김민석 총리 현장 방문·소방대원 격려
9월 27일(토) 저녁 김민석 총리 “내일까지 네트워크 장비 복구, 국민 생활 직결 서비스 우선 정상화” 지시 민원 수기 접수·서류제출 기한 연장·대체 사이트 병행
9월 28일(일) 항온항습기·네트워크 장비 복구 완료 목표일- 피해 없는 시스템부터 551개 순차 재가동 예정 대국민 서비스(우정 금융·택배·정부24) 최우선 복구

대체 서비스 사이트 목록

행정안전부가 9월 27일 07:40 발표한 대체 사이트. 정부24(https://plus.gov.kr)에서도 증명서 발급 대체 창구를 확인할 수 있다. 

서비스 대체 사이트 URL
전자가족관계등록시스템 https://efamily.scourt.go.kr
교통민원24 https://www.efine.go.kr
세움터 https://www.eais.go.kr
홈택스 https://www.hometax.go.kr
국민건강보험 https://www.nhis.or.kr
농업e지 https://nongupez.go.kr
해운항만물류정보시스템 https://dr.portmis.go.kr
법원행정처 사법정보공개포털 https://portal.scourt.go.kr
위택스 https://www.wetax.go.kr/main.do
4대사회보험 정보연계센터 https://www.4insure.or.kr
팩트리온(공장등록증명) https://www.factoryon.go.kr
고용·산재보험 토탈서비스 https://total.comwel.or.kr
임업-in 통합포털 https://foco.go.kr
공공보건포털 e보건소 https://www.e-health.go.kr

신주백 기자 jbshin@kmjournal.net

관련기사
저작권자 © KMJ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