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를 활용한 투자와 금융 흐름이 가속화되고 있는 가운데 성인 10명 중 6명은 이러한 흐름을 따라잡지 못할까봐 불안감을 느낀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은 국내 20∼60대 시민 1천명을 대상으로 '생성 AI 확산에 따른 AI 불안 경험'에 관한 설문 조사를 해 최근 이런 결과를 공개했다.

설문은 생성 AI로 가장 많이 하는 생산적 활동인 '업무 관련 지식 습득', '재테크', '본인과 자녀의 학습·교육' 등 3가지를 제시하고 이 같은 AI 활용 추세를 제대로 못 따라갈까 봐 불안을 느끼는지를 물었다.

이 결과 AI 재테크 유행에 잘 적응하지 못해 불안하다는 답변율은 59.1%에 달했다. AI 기반의 업무 지식 습득에 대해 불안감을 느낀다는 반응은 67.2%, AI 교육·학습 붐과 관련해 초조하다는 이들은 54.9%로 각각 나타났다.

반면 재테크에 실제로 생성 AI를 쓴다는 이들은 전체 설문 참여자 중 35%로 조사됐다.

언론재단 양정애 연구위원은 설문 관련 보고서에서 "AI 재테크에 대한 불안감은 연령별로는 30∼50대의 답변이 많았고, 특히 30대는 64.5%가 불안하다는 답을 내놔 그 비율이 가장 높았다"며 "이는 30대가 사회·경제 활동의 초기 단계에서 재테크에 대한 관심이 크고 AI를 잘 활용하려는 수요도 높기 때문으로 풀이된다"고 설명했다.

한국금융소비자보호재단의 이정민 연구위원은 "재테크 분석에서 생성 AI 모델마다 고유의 편향성이 존재하는 데다 같은 제품도 유료·무료 버전의 답변이 다를 수 있다"며 "개별 AI의 답변은 여러 경로를 통해 비교·확인하는 습관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권상민 기자 smkwon@kmjournal.net

저작권자 © KMJ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