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숙한 챗GPT, 기업 환경에도 자연스럽게 스며들다”

오픈AI가 인공지능(AI) 대중화의 선두주자에서 이제는 기업 시장의 강자로 발돋움했다. 챗GPT를 업무용으로 도입한 기업이 전 세계 100만 곳을 넘어서며, 개인용에서 기업용으로의 확장세를 공식화했다.

오픈AI의 기업 고객이 100만 곳을 넘어섰다. 사진=로이터, 연합뉴스
오픈AI의 기업 고객이 100만 곳을 넘어섰다. 사진=로이터, 연합뉴스

기업 고객 100만 곳 돌파… 폭발적 성장세 이어가

오픈AI는 5일(현지시간) “자사 비즈니스 플랫폼 ‘챗GPT 포 워크’와 개발자 플랫폼을 이용하는 기업 고객이 100만 곳을 돌파했다”고 밝혔다.

불과 2개월 만에 ‘챗GPT 포 워크’의 실제 접속 계정 수가 40% 증가해 700만 개를 넘어섰으며, ‘챗GPT 엔터프라이즈’ 계정은 1년 새 9배 이상 성장했다.

주요 고객사는 바이오기업 암젠, 투자은행 모건 스탠리, 유통업체 타깃, 네트워크 기업 시스코, 통신기업 T-모바일 등 다양한 분야의 글로벌 대기업들이다.

또한 SK텔레콤, LG전자, LG유플러스 등 한국 기업들도 함께 언급돼, 국내 시장에서도 확산세를 보이고 있다.

경쟁사 ‘앤스로픽’의 3배 규모… 시장 판도 바꾸다

이번 발표로 오픈AI는 경쟁사인 앤스로픽을 크게 앞질렀다.

앤스로픽은 지난 9월 기준 기업 고객 30만 곳을 확보했다고 밝힌 바 있어, 오픈AI는 그보다 3배 이상 많은 기업 고객을 보유한 셈이다.

그동안 업계에서는 “오픈AI는 개인 사용자 중심, 앤스로픽은 기업 중심”이라는 인식이 강했지만, 이번 결과는 이러한 구도를 뒤집는 신호로 해석된다.

개인과 기업 시장 ‘두 마리 토끼’ 잡은 오픈AI

오픈AI의 연 매출은 약 130억 달러로 추정되며, 이 중 70%가 개인 구독 수익이 차지한다. 그러나 기업 고객의 급성장세로, 챗GPT는 이제 개인용과 기업용 모두에서 주도권을 확보하고 있다.

현재 챗GPT의 주간 이용자는 8억 명에 달하며, 이는 월간 사용자(MAU)가 2억 명이 채 안 되는 경쟁 서비스 ‘클로드’를 크게 앞선 수치다.

반면 앤스로픽은 연 매출 70억 달러 중 80%가 기업 고객에서 발생해, ‘규모의 오픈AI’ vs ‘내실의 앤스로픽’이라는 평가가 맞서고 있다.

“챗GPT, 빠른 ROI와 친숙함으로 기업 도입 문턱 낮춰”

오픈AI는 “챗GPT는 도입과 투자수익률(ROI) 실현 속도가 경쟁사보다 빠르다”며 “이미 많은 이용자가 GPT에 익숙하기 때문에, 기업들이 시범 기간을 단축하고 마찰을 줄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로써 오픈AI는 챗GPT를 중심으로 ‘대중 친화성’과 ‘기업 효율성’을 동시에 확보하며, AI 비즈니스 시장의 주도권을 더욱 공고히 다지고 있다.

최송아 객원기자 neria97@hanmail.net

관련기사
저작권자 © KMJ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