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악관에 공식 서한 전달… 반도체 공급망·전력망 구성품까지 지원 범위 확대 제안

오픈AI가 미국 정부에 반도체 관련 세액공제 범위를 넓혀달라는 서한을 보내며, 인공지능(AI) 산업 인프라 확충을 위한 정책 지원을 요청했다. 

7일(현지시간) 오픈AI 홈페이지에 게시된 서한에 따르면 이 회사는 반도체법(칩스법) 상 투자세액공제를 받는 대상을 반도체 제조 이외 관련 공급망으로 확대해달라고 요청했다.

사진=로이터, 연합뉴스
사진=로이터, 연합뉴스

반도체법 세액공제 확대 요구

챗GPT 개발사 오픈AI는 지난달 27일(현지시간) 크리스 리헤인 최고대외협력책임자(CGAO) 명의로 백악관에 공식 서한을 전달했다.

서한의 수신인은 마이클 크라치오스 백악관 과학기술정책실장이며, 오픈AI는 반도체법(칩스법) 상 투자세액공제를 반도체 제조를 넘어 관련 공급망 전반으로 확대해야 달라고 요청했다.

오픈AI는 “세액공제 확대는 자본 비용을 줄이고 초기 투자 위험을 완화하며, 민간 자본 유치로 병목 현상을 해소해 미국 내 AI 구축을 가속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AI 산업 위한 공급망 보강 필요”

조 바이든 행정부 시절인 2022년 제정된 칩스법은 미국 내 반도체 공장을 짓는 기업에 25%의 세액공제를 제공했다.

올해 7월에는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OBBBA)’이 통과되면서 세액공제율이 35%로 확대됐다.

오픈AI는 이번 서한에서 최근 논란이 된 ‘정부 보증’ 이슈도 함께 언급했다. 다만 이는 오픈AI 자체가 아닌, 반도체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한 보증이었다.

회사는 정부가 중국의 공급망 지배력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 내 제조업체에 보조금 지급, 대출, 대출 보증 등 재정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중국 의존 줄이고 핵심 부품 생산기간 단축”

오픈AI는 서한에서 구리, 알루미늄, 전기강판, 희토류 원소, 반도체 원자재 등 주요 소재에 대한 중국의 ‘시장 왜곡’ 문제 대응에 도움이 된다고 지적했다.

또한 미국 내 직접 자금 지원이 변압기 등 핵심 전력망 부품의 생산 기간을 단축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 서한은 오픈AI가 글로벌 AI 산업을 선도하면서도 여전히 수익을 내지 못한 채 막대한 인프라 비용을 감당해야 하는 현실 속에서, 연방 정부의 정책적 지원을 적극 모색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정부 보증 발언 논란 이후…“보유·요청 사실 없다” 해명

앞서 새러 프라이어 오픈AI 최고재무책임자(CFO)는 한 콘퍼런스에서 정부가 AI 칩 조달 비용을 보증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언급했다가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이에 데이비드 색스 백악관 과학기술자문위원장은 “AI에 대한 연방정부의 구제금융은 없다”고 일축한 바 있다.

논란이 확산되자 프라이어는 즉시 발언을 철회했고,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 역시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오픈AI 데이터센터에 대한 정부 보증을 보유하고 있지도, 요청하지도 않는다”고 해명했다.

최송아 객원기자 choesonga627@gmail.com

저작권자 © KMJ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