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가 자체 공간정보 인프라와 로봇 운영 기술을 기반으로 실내 중심의 운용 범위를 도시 단위의 실외 환경까지 확대하기 위해 실외 자율주행 로봇 ‘룽고(Lungo)’ 개발 및 테스트에 본격 착수했다.
실내 배송 로봇 성공 경험, 실외 자율주행 시장 확장으로 이어지다
네이버랩스는 그동안 1784 사옥에서 ‘루키(Rookie)’를 통해 실내 자율주행·승강기 연동·층간 이동·콜 서비스 등 고도화된 워크플로를 실전에서 검증해왔다. 이를 통해 확보한 로봇 운영 데이터를 기반으로 네이버는 데이터센터·캠퍼스·공공시설 등으로 범위를 넓혀왔으며, 이번 룽고 개발은 실외 자율주행 기반 로봇 시장까지 사업을 확장하려는 전략적 수순으로 해석된다.
1784에서 축적된 로봇 운영 아키텍처(아크·아크마인드·어라운드)는 모든 로봇이 실시간으로 연결되고 협업하는 구조를 지향한다. 네이버는 이 구조를 건물 내에서 캠퍼스로, 캠퍼스에서 도시 단위로 확장하는 ‘로봇 인프라의 스케일업’을 추진 중이며, 룽고는 이 확장의 중심에 놓인 모델이다.
룽고, 실외 환경을 위한 플랫폼형 로봇…네이버 로봇 라인업의 결정적 분기점
룽고는 네이버 로봇 라인업 중 최초로 ‘실외 전용 플랫폼’을 표방한다. 기존 라인업이 실내 배송·근접 환경 작업·특수 목적에 맞춰 구성됐다면, 룽고는 경사·노면 상태·보행자·차량 등 예측하기 어려운 실외 변수를 처리해야 하는 만큼 설계 단계부터 완전히 다른 접근이 적용된다.
네이버랩스는 현재 1784 제2사옥 주변 도로와 캠퍼스 일대에서 룽고의 실외 주행 성능을 검증하고 있으며, 자율주행 플랫폼 ‘어라운드’와 로봇 클라우드 ‘아크’, 웹 기반 로봇 운영체제(OS) ‘아크마인드’와의 연동도 함께 테스트 중이다. 룽고가 플랫폼화에 성공하면, 목적별 확장 모델 또는 파생 모델을 만들어 다양한 실외 환경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다.
실외 로봇 시장, 이제 막 성장하는 ‘라스트마일’ 블루오션
글로벌 실외 자율배송 시장은 아직 초기 단계지만 성장 잠재력은 매우 크다. 라스트마일 배송, 캠퍼스 순환 물류, 상권 간 배달, 시설 관리 등은 모두 자동화 대상이며, 국내에서도 관련 규제 개선과 실증 특례가 확대되면서 실외 로봇의 사업화가 본격적으로 논의되고 있다.
네이버는 HD맵·디지털트윈·공간지능과 같은 정밀 공간정보 기술을 보유한 몇 안 되는 국내 기업으로, 룽고 프로젝트가 안정적으로 안착할 경우 로봇 산업에서 독보적인 경쟁 우위를 확보할 가능성이 높다. 특히 우아한형제들, 아마존 스카우트, 스타십 로보틱스 등과의 경쟁에서도 공간 인프라 기반의 기술적 차별화를 통해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루키2·엠비덱스·미니노이드까지…네이버 로보틱스 생태계의 확장 속도
네이버는 실외 로봇뿐 아니라 실제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로봇 포트폴리오를 지속적으로 확장 중이다. 실내 배송 로봇 루키의 후속 모델 ‘루키2’, 근접 작업 중심의 경량 고성능 로봇팔 ‘엠비덱스’, MIT와 협력한 소형 휴머노이드 ‘미니노이드’ 등은 네이버 로보틱스 기술의 스펙트럼을 크게 넓힌 사례다. 특히 DAN 25에서 공개된 미니노이드 실물은 네이버가 단순한 서비스 로봇 기업을 넘어 미래 로봇 플랫폼 기업으로 전환하고 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줬다.
네이버 “룽고는 다양한 용도별 모델을 테스트 중…내부 검증 단계 지속”
네이버 관계자는 “룽고 프로젝트는 현재 내부 테스트 단계이며, 실내·실외 환경별로 목적에 따라 다른 모델을 제작해 검증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발언은 룽고가 단일 모델이 아닌 ‘실외 자율주행 로봇 생태계의 시작점’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룽고는 네이버 로봇 생태계를 도시 단위로 확장하는 전환점
룽고 프로젝트는 네이버가 1784를 기반으로 구축해온 로봇 운영 시스템을 실외·도시로 확장하는 전략적 전환점이다. 네이버가 보유한 디지털트윈·HD맵·로봇 클라우드·자율주행 플랫폼 기술이 실외 로봇에 결합되면, 기존 실내 중심 로봇 서비스에서 벗어나 ‘도시용 로봇 인프라 기업’이라는 새로운 방향성을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네이버가 이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안착시킬 경우 국내 로봇 산업 구조는 물론 글로벌 실외 자율배송 경쟁 구도에도 의미 있는 변화가 발생할 것으로 전망된다.
신주백 기자 jbshin@kmjournal.net
- [DAN25] “대화로 검색하고 행동까지 완결한다”…네이버, ‘에이전트 N’으로 AI 서비스의 새 기준 제시
- [DAN25] 네이버, ‘Agent N’으로 AI 전면전 선언… “대한민국 산업 전반의 AI 혁신 가속”
- 네이버, DAN 25서 ‘AI 에이전트’ 전략 공개…검색에서 쇼핑·광고까지 확장 예고
- 네이버, ‘브레인리스 로봇’의 시대를 열다…연말엔 사옥서 휴머노이드가 커피 배달
- 170cm 피지컬 휴머노이드의 등장…LG, ‘케이펙스’로 가정용 로봇 시장 정조준한다
- 네이버, 포털 최초 ‘AI 키워드 검색’ 도입… 스포츠·연예 뉴스부터 적용
- 네이버랩스 유럽, ‘더스터2·애니’로 진화한 3D·인체 AI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