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중심의 서비스 혁신과 산업별 AX(산업 전환) 전략으로 풀스택 AI 비전 제시
네이버가 ‘Agent N(에이전트 N)’을 앞세워 서비스부터 산업 전반까지 아우르는 AI 전환 전략을 본격화했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11월 6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통합 기술 컨퍼런스 ‘단25(DAN25)’ 키노트에서 “대한민국이 AI 3대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네이버가 풀스택 AI 역량을 총동원하겠다”고 선언했다.
“검색 없이 대화로 연결되는 세상”…Agent N의 등장
최 대표는 “사용자는 이제 검색어를 입력하지 않아도 된다”며 “AI 에이전트 ‘Agent N’이 대화를 통해 사용자의 의도를 이해하고, 필요한 콘텐츠·상품·서비스를 제안하고 실행까지 이어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네이버가 지난 1년간 검색, 쇼핑, 로컬, 금융 등 주요 서비스에 축적한 AI 경험을 기반으로 만들어낸 차세대 사용자 인터페이스다.
‘Agent N’은 네이버의 데이터와 기술 인프라를 통합한 AI 플랫폼으로, 각 서비스의 버티컬 AI 역량(온서비스 AI) 을 고도화해 사용자의 맥락을 이해하고 예측·제안·실행을 완결하는 구조로 설계됐다. 내년 1분기에는 AI 쇼핑 서비스 ‘네이버플러스 스토어’에 ‘쇼핑 에이전트’가, 2분기에는 통합검색 기반 ‘AI탭’이 공개될 예정이다.
“AI로 대한민국 산업의 전환을 이끈다”...한국 제조업 AI 전환 가속화
최 대표는 네이버가 한국 제조산업의 AI 전환(AX) 을 선도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밝혔다. 그는 “반도체·자동차·조선 등 한국의 핵심 산업 경쟁력 위에 네이버의 AI 소프트웨어 역량을 더해 산업 전반의 혁신을 촉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네이버는 2026년까지 1조 원 규모의 GPU 투자를 추진하고, 세종 데이터센터와 제2사옥 ‘1784’를 연결하는 ‘피지컬 AI 테스트베드’를 본격 가동할 계획이다. 이는 산업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작동하는 AI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한 기반으로, 국내 최대 규모의 AI 인프라 구축을 목표로 한다.
‘네이버 임팩트’...AI 상생 비전
최 대표는 키노트의 클로징에서 AI 혁신을 사회 전반으로 확산하는 ‘네이버 임팩트’ 비전을 제시했다. 그는 “AI 기술을 통해 중소사업자(SME), 창작자, 로컬 사업자들이 생산성을 높이고 글로벌 시장에 도전할 수 있도록 돕겠다”고 밝혔다.
또한 AI 교육과 기술 격차 해소를 통해 산업·사회 전반의 디지털 전환을 이끌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는 단순한 기술 투자 이상의 ‘AI 상생 생태계’ 구축 선언으로 해석된다.
신주백 기자 jbshin@kmjournal.net
- 네이버, “쇼핑 AI 에이전트로 검색을 행동으로”…2026년 봄 상용화 예고
- 네이버, AI로 새 역사 썼다…사상 최대 실적 견인한 ‘온 서비스 AI’
- [DAN25] “대화로 검색하고 행동까지 완결한다”…네이버, ‘에이전트 N’으로 AI 서비스의 새 기준 제시
- 네이버 vs 카카오, 각기 다른 길을 걷는 대한민국 양대 플랫폼
- [비즈인사이트] 네이버 AI 전략, 왜 폐쇄형 생태계로 가나?
- AI 에이전트 신성 ‘젠스파크’, LG 등에서 2억 달러 유치… 유니콘 반열 합류
- 네이버, 실외 자율주행 로봇 ‘룽고’ 개발 착수…1784를 넘어 도시로 확장하는 로보틱스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