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AI 기업 중 유일… “풀스택 기술 경쟁력 정부 공식 인정”

국내 인공지능(AI) 기업 솔트룩스가 AI 소프트웨어부터 하드웨어, 기업용 AI 에이전트까지 자사 핵심 제품 3종을 ‘2025 세계일류상품’에 동시에 올려놓으며 기술력을 증명했다. 한 기업이 동일 연도에 LLM, 어플라이언스, AI 에이전트를 모두 세계일류상품으로 인정받은 것은 드문 사례다.

18일 서울 롯데호텔월드에서 열린 인증서 수여식에서 솔트룩스는 ▲초거대 언어모델 ‘루시아(LUXIA)’ ▲AI 어플라이언스 ‘루시아 온(LUXIA-ON)’ ▲기업형 AI 에이전트 ‘구버 엔터프라이즈(Goover Enterprise)’가 차세대 세계일류상품 부문에 선정됐다고 밝혔다.

세계일류상품 인증은 산업통상자원부와 KOTRA가 주관하며, 글로벌 시장 선도 가능성이 입증된 제품에만 부여된다.

세계일류상품 인증서 수여식에서 강상엽 코트라 부사장(좌), 솔트룩스 김태현 상무(우)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솔트룩스 제공
세계일류상품 인증서 수여식에서 강상엽 코트라 부사장(좌), 솔트룩스 김태현 상무(우)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솔트룩스 제공

한국형 LLM ‘루시아’, 글로벌 무대에서 인정받은 기술력

솔트룩스의 초거대 언어모델 ‘루시아’는 이미 지난해 글로벌 AI 플랫폼 ‘허깅페이스’ 오픈 LLM 리더보드에서 세계 1위를 기록하며 기술성을 입증했다.

특히 1.5TB 이상의 전문 데이터를 학습해 법률·공공·금융 등 고난도 전문 분야에 최적화된 것이 강점이다.

환각(hallucination) 억제 성능 역시 높아, 신뢰성이 중요한 산업 현장에서 쓰임새가 크다는 평가다.

최신 모델 ‘루시아 3.0’은 텍스트와 이미지, 표 데이터를 동시에 이해하는 멀티모달(VLM) 기능과 심층 분석을 강화한 딥리서치 모델을 추가하며 한 단계 진화했다.

세계 최초 하드웨어 일체형 생성형 AI 어플라이언스 ‘루시아 온’

세트톱박스처럼 꽂자마자 바로 쓸 수 있는 ‘루시아 온(LUXIA-ON)’은 솔트룩스가 “세계 최초”를 강조하는 독자 AI 어플라이언스다.

GPU, LLM, 운영 환경이 모두 통합된 형태로, 외부 클라우드 연결 없이 기업 내부망에서 독립적으로 작동한다.

이 구조는 보안이 중요한 공공·금융기관의 니즈를 정확히 겨냥했다.

데이터가 외부로 나가지 않기 때문에 보안 이슈를 원천 차단할 수 있다는 점에서 도입 문의가 꾸준히 늘고 있다.

기업용 AI 에이전트 플랫폼 ‘구버 엔터프라이즈’… 업무 자동화에서 전략 분석까지

이번에 함께 선정된 ‘구버 엔터프라이즈’는 글로벌 AI 에이전트 서비스 goover.ai의 엔터프라이즈 버전이다.

ERP·그룹웨어 등 기업 내부 데이터를 안전하게 연동하고, 검색·생성·분석·자동화 등 AI 기능을 맞춤형으로 구성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단순한 업무 지원을 넘어 ▲시장 동향 분석 ▲신제품 기획 ▲복잡한 지식 업무 처리까지 확장되며 기업 생산성 향상을 목표로 한다.

클라우드·어플라이언스·온프레미스 등 다양한 환경에 맞춰 구축이 가능해 대기업·중견기업·기관 등 고객 스펙트럼도 넓다.

2025년 산업 AI 글로벌 시장진출 포럼 이경일 대표가 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솔트룩스 제공
2025년 산업 AI 글로벌 시장진출 포럼 이경일 대표가 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솔트룩스 제공

“AI 풀스택 경쟁력 인정받아”… 정부 행사서 글로벌 전략도 공유

한편, 수여식에 앞서 열린 ‘2025 산업 AI 글로벌 시장진출 포럼’에서 이경일 솔트룩스 대표는 ‘AI 솔루션을 활용한 글로벌 시장 도전’을 주제로 발표했다.

정식 오픈 4개월 만에 170만 고객을 확보한 구버(goover.ai) 사례가 소개되면서, 솔트룩스의 글로벌 확장 전략에도 관심이 모였다.

이경일 대표는 “25년간 축적해 온 AI 기술력이 세계 수준에 도달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성과”라며 “한국을 대표하는 AI 기업으로서 신뢰성과 경쟁력을 강화하며 글로벌 시장에서 기술 혁신을 주도하겠다”고 밝혔다.

신주백 기자  jbshin@kmjournal.net

저작권자 © KMJ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