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연방기관 AI·데이터 처리 효율화… AWS ‘트레이니엄’ 칩 기반 슈퍼컴퓨팅 활용
24일(현지시간) 아마존은 미국 정부의 국방과 연방기관 AI·슈퍼컴퓨팅 인프라에 최대 500억 달러(약 74조원)를 투자하고, 인디애나주 북부에 150억 달러(약 22조원) 규모의 신규 데이터센터를 건설한다고 밝혔다.
정부 AI 인프라 대규모 확충
아마존은 AWS 클라우드에 정부 고객을 위한 1.3GW 규모의 컴퓨팅 용량을 추가하고, 엔비디아 칩과 자사 ‘트레이니엄’ 칩을 장착한 AI 인프라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정부 기관은 앤스로픽 ‘클로드’와 아마존 ‘노바’ 등 AI 모델을 활용할 수 있으며, 세이지메이커 AI와 베드록 서비스도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추가 용량은 내년 구축을 시작하며, 이는 AWS의 최고 기밀·기밀·정부클라우드(US) 리전에 할당된다.
국방·정보 업무 효율화
아마존은 이번 투자를 통해 정부 기관의 의사결정 속도를 크게 높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시뮬레이션과 모델링 등 기존에 몇 주~몇 개월이 걸리던 작업이 AI 통합으로 몇 시간 안에 수행 가능하다.
특히 국방과 정보 업무에서 위성 영상, 센서 자료, 패턴 분석 등을 대규모로 처리하며 위협을 자동 탐지하고 대응 계획을 생성할 수 있다.
인디애나주 데이터센터 건설
아마존은 별도로 150억 달러를 들여 인디애나주 북부에 2.4GW 전력 규모의 신규 데이터센터를 건설한다.
이번 프로젝트는 1천100개 이상의 고숙련 일자리를 창출하고, 지역 전력업체를 통해 데이터센터 운영에 필요한 설비를 지원함으로써 추가 비용 부담을 최소화한다.
아마존은 2023년 기준 전 세계 924곳의 데이터센터를 운영 중이며, 이 중 5분의 1은 임대 데이터센터인 ‘콜로케이션’으로 나타났다.
클라우드 기반 디지털 전환 가속
AWS는 이미 1만1천여 개의 정부 기관을 고객으로 두고 있으며, 이번 투자를 통해 기관들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클라우드와 AI 인프라 확충으로 기관들은 효율적인 데이터 처리와 신속한 의사결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환경·기후 영향 우려
한편 아마존의 데이터센터 확장으로 전력 수요가 급증하면서 석탄 발전소 폐쇄 지연과 물 소비 증가 등 환경 영향이 지적된다.
블룸버그 통신은 비영리 조사기관 ‘소스머티리얼’ 문건을 인용해, 데이터센터 증가가 기후·환경 측면에서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보도했다.
최송아 객원기자 choesonga627@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