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테크, 천문학적 데이터센터·AI 인프라 구축 위해 채권 발행 러시 가속

 

아마존이 17일(현지시간) 약 17조 6천억원 규모의 회사채 발행에 나서며, 빅테크 기업들의 AI 인프라 투자를 위한 자금 조달 경쟁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3년 만에 채권 발행에 나선 아마존. 사진=위키미디어커먼스

아마존, 17조6천억 규모 회사채 발행… 3년 만의 시장 복귀

블룸버그에 따르면 아마존은 총 120억 달러를 6개 구간으로 나누어 회사채 형태로 조달한다. 이 중 만기가 가장 긴 40년물은 미 국채 대비 1.15% 포인트 높은 금리가 적용될 전망이다.

아마존이 회사채 발행을 통해 자금을 확보하는 것은 2022년 11월 이후 3년 만의 일이다.

조달한 자금은 기업 인수, 자본지출, 자사주 매입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될 예정이며, 그중 상당 부분이 AI 및 클라우드 인프라 강화에 투입될 것으로 예상된다.

AI 경쟁 심화… AWS 인프라 확장에 대규모 자본 투입

아마존웹서비스(AWS)는 클라우드 시장에서 세계 1위를 유지하고 있으나, 마이크로소프트 애저, 구글 클라우드와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아마존은 이달 초 오픈AI에 엔비디아 GPU 수십만 개를 탑재한 컴퓨팅 인프라를 7년간 공급하는 380억 달러 규모의 대형 계약을 체결했다.

아마존 데이터센터 용량은 2022년 대비 두 배로 확대됐으며, CEO 앤디 재시는 2027년까지 다시 두 배로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한 바 있다.

빅테크 전반으로 확산된 채권 발행 러시

AI 인프라 구축 비용이 천문학적으로 커지면서 빅테크 전반에 걸쳐 채권 발행이 잇따르고 있다.

오라클은 지난 9월 180억 달러를 조달했고, 메타는 지난달 300억 달러의 회사채를 발행했다.

구글 모회사 알파벳은 4월 유럽에서 65억 유로 규모 채권을 발행한 데 이어, 최근 미국·유럽 시장에서 총 250억 달러 규모의 회사채를 추가로 내놨다.

현금 보유력이 높은 기업들이지만, 데이터센터 신설과 컴퓨팅 파워 확보 비용이 워낙 크기 때문에 ‘빚을 통한 투자’ 전략을 택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는 최근 실적 발표에서 “우리는 과소 투자하지 않고 있다”며 “데이터센터 용량을 공격적으로 선행 구축하는 것이 옳은 전략”이라고 강조했다.

내년 미국 고등급 채권시장 사상 최대 전망

AI 투자가 급증하면서 채권 시장의 규모도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JP모건체이스는 내년 미국 고등급 채권 발행량이 사상 최대치인 1조 810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AI 경쟁이 심화되는 만큼 빅테크의 채권 발행 흐름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최송아 객원기자 choesonga627@gmail.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KMJ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