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테크 데이터센터 확대로 일부 주 전기요금 급등
AI 확산으로 미국 데이터센터 수요가 급증하면서 버지니아·일리노이 등 일부 주에서 전기요금이 최대 15% 이상 치솟았다고 16일(현지시간) 보도됐다.
데이터센터 급증에 전기요금 2~3배 수준으로 상승
미 경제방송 CNBC는 16일(현지시간) 데이터센터가 밀집한 주를 중심으로 전기요금 인상률이 미국 평균의 2~3배에 달한다고 전했다.
데이터센터 666곳을 보유한 버지니아주는 올해 8월 전기요금이 전년 대비 13% 올랐으며, 데이터센터 244곳이 모여 있는 일리노이주는 15.8%, 오하이오주는 12% 인상률을 기록했다.
미국의 연간 평균 전기요금 인상률이 5.1%인 점을 고려하면 큰 폭의 상승이다. 이는 취임 첫해 전기요금을 절반으로 낮추겠다고 공약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계획과도 반대되는 결과로 평가됐다.
AI 연산 수요 폭증… GW급 데이터센터 확산
버지니아와 오하이오 등에서는 아마존,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메타 등이 대규모 데이터센터를 운영 중이다.
특히 메타는 오하이오주에 1GW 규모의 ‘프로메테우스’ 센터를 짓고 있으며, 오픈AI는 오라클·소프트뱅크와 함께 ‘스타게이트’ 계획에 따른 신규 데이터센터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AI 모델은 대량의 행렬 연산을 위해 막대한 전력을 필요로 하며, 최근 발표되는 일부 시설은 원전 1기와 맞먹는 1GW급 규모로 확장되고 있다.
데이터센터 수가 늘어날수록 전력 수요가 폭증하고, 이로 인해 전기요금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구조가 고착화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전기요금 부담에 '테크래시' 확산… 정치권도 문제 제기
버지니아 주지사 당선인 애비게일 스팬버거는 최근 전기요금 인상이 데이터센터 확대로 인해 발생했다며 “빅테크가 그들의 몫을 지불하게 하겠다”고 밝혔다.
버니 샌더스 상원의원 등 민주당 의원들은 백악관에 공식 서한을 보내 데이터센터가 가계 전기요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질의했다.
일부 지역에서는 대규모 데이터센터 유치에 대한 부정적 여론, 즉 ‘테크래시’ 현상이 확산 중이라는 전문가 분석도 나왔다.
에이브러햄 실버먼 존스홉킨스대 연구원은 “데이터센터가 밀집된 곳을 중심으로 더는 데이터센터를 원하지 않는다는 반응이 나오고 있다”며 테크래시가 현실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텍사스·캘리포니아는 영향 제한적… 전력 공급 구조 차이
반면 텍사스와 캘리포니아는 대규모 데이터센터를 보유하고 있음에도 전기요금 상승 폭이 제한적이었다.
텍사스주는 데이터센터 409곳에도 불구하고 연간 전기요금 인상률이 3.8%에 그쳤고, 캘리포니아주는 321곳의 데이터센터를 보유하고도 1.2% 상승에 그쳤다.
텍사스는 신규 전력원을 전력망에 연결하는 데 걸리는 기간이 약 3년으로 짧아 공급이 원활한 점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며, 캘리포니아는 산불 예방 비용을 전기요금이 아닌 일반 재원에서 분담하기로 바꾸면서 요금 안정화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분석됐다.
최송아 객원기자 choesonga627@gmail.com
- AI 전력 대란이 불러온 원전 컴백…고리 2호기 재가동, 데이터센터 확장 ‘임계점’ 넘었다
- 중국, 국책 데이터센터서 외국산 AI칩 전면 금지…화웨이·캄브리콘에 ‘기회의 창’ 열렸다
- 구글, 우주에 ‘태양광 데이터센터’ 짓는다...AI 전력난 해법을 하늘에서 찾다
- “지하 팔 시간 없다” SK, 울산에 ‘AI 데이터센터’ 속도전
- 구글, 원전 재가동으로 ‘AI 전력난’ 해소 나선다
- 메타, 텍사스 엘파소에 1GW급 AI 데이터센터 착공… “초지능 인프라의 심장”
- AI 전력 전쟁, 한국의 ‘고립형 전력망’이 시험대에 오르다
- 미국 데이터센터 확장과 겨울철 전력난 경고
- 오픈AI, 미국 내 데이터센터 확대 위해 폭스콘과 손잡다
- [칼럼] AI 데이터센터가 원전을 되살린다
- 미국 정부 AI 전환 가속… 아마존, 74조원 투자 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