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를 그리는 AI의 거인
빅테크의 시대, 결국 기업에 대한 이해가 필요해!
투자를 하든 안 하든, 우리 주변의 IT 기업들을 제대로 아는 건 필수지.
‘나의 첫 IT 수업’ 시리즈는 우리 청소년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핵심 기업과 기술을 재미있고 알기 쉽게 풀어주는 시리즈야.
이번 시간엔 AI와 메타버스의 강자, 엔비디아(NVIDIA)를 만나볼까?
1993년,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젠슨 황(Jensen Huang)이라는 아시아계 청년이 두 친구와 함께 작은 회사를 만들었어. 그 회사가 바로 엔비디아(NVIDIA)야.
처음에는 컴퓨터로 더 멋진 게임 그래픽을 만들기 위해 GPU(Graphics Processing Unit)라는 칩을 만들기 시작했어. GPU는 게임 캐릭터가 움직이거나 폭발하는 장면을 더 멋지게 보여주는데 꼭 필요해.
이제 엔비디아는 게임 그래픽뿐만 아니라 인공지능(AI), 자율주행차, 메타버스 같은 첨단 기술에도 도전하고 있어.
CPU와 GPU, 뭐가 다를까?
CPU(Central Processing Unit): 컴퓨터의 두뇌야. 책을 한 권씩 빠르게 읽는 독서왕 같아. 문서 작성, 인터넷 검색 같은 간단한 작업에 좋아.
GPU(Graphics Processing Unit): 동시에 여러 개의 책을 읽을 수 있는 도서관 같은 곳이야. 게임 그래픽처럼 엄청 많은 데이터를 빠르게 계산할 때 유리해. 쉽게 말해, CPU는 혼자서 열심히 일하는 직원이라면, GPU는 여러 사람이 함께 일하는 팀 같아.
엔비디아의 성공 비결 - CUDA란?
엔비디아는 GPU만 만든 게 아니야. CUDA라는 특별한 소프트웨어도 개발했어. CUDA(Compute Unified Device Architecture): GPU의 힘을 최대한으로 끌어올려서 AI, 데이터 분석 등을 더 빠르게 해줘. 예를 들어, AI가 사진 속 고양이와 강아지를 구분할 때, CPU로 계산하면 오래 걸리지만, CUDA를 사용하는 GPU로 계산하면 훨씬 빠르게 끝낼 수 있어.
엔비디아의 주요 제품 4가지
GeForce RTX 시리즈 (게이밍 GPU): 게임 캐릭터가 더 멋지고 부드럽게 움직이게 해주는 그래픽 카드야. 빛이 반사되거나 굴절되는 장면도 진짜처럼 표현할 수 있어.
A100 & H100 (데이터센터용 GPU): AI 연구소에서 엄청나게 많은 데이터를 빠르게 계산할 때 쓰여. 구글, 아마존 같은 회사들이 이걸 사용해 AI를 훈련시켜.
Drive PX (자율주행 플랫폼): 자율주행차가 카메라와 센서로 주변 상황을 보고, 차선을 잘 지키도록 도와줘.
Omniverse (메타버스 플랫폼): 가상의 공간에서 자동차나 건물을 설계하고,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플랫폼이야. 예를 들어, 자동차를 먼저 가상공간에서 테스트해보고 실제로 만들면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어.
엔비디아는 어떻게 돈을 벌까?
게임용 그래픽 카드 판매: 전 세계 게이머들이 멋진 그래픽을 위해 RTX 시리즈를 구입해.
데이터센터용 GPU 판매: AI를 훈련하는 회사들은 A100, H100 같은 강력한 GPU를 구매해.
자율주행차 AI 칩 판매: 자동차 회사들이 엔비디아의 Drive PX 칩을 사서 자율주행차를 만든다.
Omniverse 플랫폼: 엔비디아의 Omniverse에서 제품을 설계하거나 테스트할 때도 GPU가 필요해.
엔비디아의 미래는?
엔비디아는 단순히 그래픽 카드를 만드는 회사가 아니야.AI, 자율주행, 메타버스 등 미래 기술의 핵심을 만들고 있어. 특히 Omniverse를 통해 가상의 공장에서 자동차나 로봇을 먼저 테스트해보고 실제로 만들면 시간과 비용을 아낄 수 있지. 엔비디아는 앞으로 더 많은 산업에서 활약할 거야. 자동차, 스마트 시티, 로봇, 메타버스까지 모두 엔비디아의 기술을 사용할 가능성이 커! 그리고 가장 최근에는 걸어다니고 움직이는 로봇AI를 (Physical AI) 만들고 있어.
퀴즈 시간!
1. 엔비디아가 처음에 만들기 시작한 제품은 무엇일까?
A) 자율주행차 칩
B) 메타버스 플랫폼
C) 그래픽 카드
D) AI 칩
2. GPU가 CPU와 다른 점은 무엇일까?
A) GPU는 한 번에 많은 데이터를 동시에 계산할 수 있다
B) GPU는 오직 텍스트만 처리할 수 있다
C) GPU는 인터넷 연결이 필요하다
D) GPU는 CPU보다 느리다
3. 엔비디아의 Omniverse는 어떤 플랫폼일까?
A) 게임을 만드는 플랫폼
B) 가상 공간에서 제품을 설계하고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플랫폼
C) 전자상거래를 위한 플랫폼
D) 소셜 미디어 플랫폼
정답 : 1번 C, 2번 A, 3번 B
- [나의 첫 IT수업] 테슬라(TESLA)
- [나의 첫 IT수업]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1편
- [나의 첫 IT수업]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2편
- [나의 첫 IT수업]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3편
- [컴퓨텍스 2025] 엔비디아, 대만에 AI 슈퍼컴 생태계 구축…TSMC·폭스콘과 1억 달러 ‘빅딜’
- [나의 첫 IT수업]팔란티어(Palantir)
- 엔비디아판 메타버스 '옴니버스'로 피지컬 AI 수천조 원 시장 준비한다!
- [나의 첫 IT수업] 메타(META) 1편
- [나의 첫 IT수업] 메타(META) 2편
- 엔비디아, ‘피지컬 AI’로 로봇 혁명 선언
- [칼럼] 게임 체인저 '클라우드 게이밍'
- [테크핫템] 엔비디아 ‘DGX 스파크’ vs 애플 ‘맥스튜디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