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스북에서 메타로 – 소셜 미디어 제국의 탄생
투자를 하든 안 하든, 우리 주변의 IT 기업들을 제대로 아는 건 필수지.
‘나의 첫 IT 수업’ 시리즈는 우리 청소년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핵심 기업과 기술을 재미있고 알기 쉽게 풀어주는 시리즈야.
영화 : 소셜네트워크 (SONY PICTURES 유튜브)
오늘날 우리가 쓰는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왓츠앱은 모두 같은 회사에서 만든 거라는 걸 알고 있었어?
‘나의 첫 IT 수업’ 시리즈, 이번 시간에는 세계 최대의 소셜 미디어 기업이자, 이름을 바꿔 메타(Meta)가 된 페이스북 이야기야. 마크 저커버그가 만든 이 회사는 어떻게 전 세계 30억 명 이상이 사용하는 플랫폼 제국이 되었을까?
하버드 기숙사에서 시작된 페이스북
2004년, 하버드 대학생 마크 저커버그(Mark Zuckerberg)는 기숙사 방에서 친구들끼리 얼굴을 비교하고 친구 관계를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를 만들었어. 이게 바로 ‘The Facebook’의 시작이야.
처음에는 하버드 학생들만 사용할 수 있었지만, 곧 스탠퍼드, 예일, MIT 등으로 퍼졌고, 2006년에는 전 세계 누구나 가입할 수 있게 되면서 폭발적인 성장을 시작했지.
저커버그는 “세상의 모든 사람들을 연결하겠다”는 비전을 내세웠고, 이는 단순한 대학생 SNS를 전 세계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으로 바꿔놓았어.
페이스북의 핵심 기능 – 디지털 인간관계의 설계
페이스북은 사람 사이의 관계를 디지털화했어. 이 말은 곧 친구 맺기, 대화, 공유, 관심 표현 등을 모두 온라인에서 구현했다는 뜻이지.
친구 맺기: 실명을 기반으로 친구 요청을 보내고, 양쪽이 수락해야 연결됨.
뉴스피드(News Feed): 친구의 글, 사진, 동영상, 좋아요를 한 콘텐츠 등을 타임라인으로 보여줌.
좋아요와 이모티콘 반응: 콘텐츠에 대한 감정 표현이 디지털 언어처럼 자리잡게 되었지.
댓글과 공유: 서로의 콘텐츠에 피드백을 주고, 확산시키는 기능.
이 기능들이 결합되면서 페이스북은 개인의 감정, 정치적 견해, 취향까지 드러나는 '디지털 자아 공간'이 되었어.
인스타그램, 왓츠앱, 오큘러스 – 인수로 제국을 넓히다
저커버그는 내부 성장만으로는 부족하다고 판단했어. 그래서 젊은 세대,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미래 기술을 선점하기 위해 과감한 인수 전략을 펼쳤지.
인스타그램(Instagram): 사진 중심의 감성적 플랫폼. 2012년에 단 13명으로 운영되던 회사를 약 10억 달러에 인수했어. 현재 10억 명 넘는 사용자를 가진 메가 플랫폼이 됐지.
왓츠앱(WhatsApp):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쓰는 메신저 중 하나. 특히 인도, 브라질, 동남아 시장에서 강세야. 2014년 약 190억 달러에 인수.
오큘러스(Oculus VR): 가상현실 기기 회사. 메타버스의 전초기지로 삼기 위해 같은 해 인수했지. Quest 시리즈로 이어지는 VR 생태계의 시작이야.
이러한 인수는 단순히 경쟁자를 없애려는 것이 아니라, 페이스북을 소셜 네트워크를 넘어선 거대한 커뮤니케이션 생태계로 확장시키는 전략이었어.
알고리즘과 중독성 – 연결 뒤에 숨겨진 그림자
페이스북은 사용자가 오래 머무를수록 광고 수익이 늘어나. 그래서 '뉴스피드 알고리즘'은 사람들이 더 많이 클릭하고 반응할 콘텐츠를 우선 보여줘. 하지만 이로 인해 자극적인 콘텐츠, 가짜 뉴스, 혐오 발언 등이 더 퍼지기 쉬워졌어. 또한, 좋아요 수, 댓글 반응, 타인의 일상 비교는 많은 사용자에게 스트레스와 우울감을 주기도 했지.내부 문서 유출로 인해 페이스북이 이런 문제를 알고도 개선하지 않았다는 비판도 받았어. 알고리즘에 대한 폐해를 다룬 넷플릭스의 다큐멘터리 '소셜딜레마'도 한번 봐보면 좋을듯해. 아무튼 현재 메타는 AI 기반 콘텐츠 필터링, 사용 시간 조절, 콘텐츠 추천 다양성 강화 등의 개선책을 추진 중이야.
다큐멘터리 소셜딜레마 = 넷플릭스 유튜브
수익 모델 – 우리는 공짜로 쓰지만, 진짜 고객은 광고주?
페이스북(현재 메타)의 가장 큰 수익원은 광고야. 사용자들은 무료로 서비스에 가입하고 이용하지만, 그들의 행동 데이터는 광고주에게 매우 가치 있는 자원이야.
Meta Ads: 광고주는 나이, 지역, 관심사, 행동 기반으로 타겟팅 광고를 집행할 수 있어.
Meta for Business: 중소기업도 손쉽게 광고를 만들고, 고객과 소통할 수 있는 도구 제공.
이커머스 기능: 인스타그램 쇼핑, 페이스북 마켓플레이스를 통해 쇼핑 생태계도 넓혀가고 있어.
광고 외에도 VR 기기 판매, 유료 기능(버티컬 스토리 강조 노출 등), 향후 구독 기반 서비스도 확장될 예정이야.
퀴즈 시간!
1 페이스북을 만든 사람은 누구일까?
A) 제프 베조스
B) 일론 머스크
C) 마크 저커버그
D) 래리 페이지
2 페이스북이 인수한 사진 중심 SNS는?
A) 틱톡
B) 유튜브
C) 인스타그램
D) 텀블러
3 페이스북의 주요 수익원은 무엇일까?
A) 하드웨어 판매
B) 구독료
C) 광고
D) 게임 아이템
정답: 1번 C, 2번 C, 3번 C
- [나의 첫 IT수업]팔란티어(Palantir)
- [나의 첫 IT수업]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3편
- [나의 첫 IT수업]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2편
- [나의 첫 IT수업]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1편
- [나의 첫 IT수업] 테슬라(TESLA)
- [나의 첫 IT수업] 엔비디아(NVIDIA)
- [나의 첫 IT수업] 메타(META) 2편
- [나의 첫 IT수업] 구글 (Google) 1편
- [나의 첫 IT수업] 구글 (Google) 2편
- [나의 첫 IT수업] 구글 (Google) 3편
- 메타, AI로 광고 전과정 자동화…“콘셉트부터 타깃팅까지 AI가 담당”
- 저커버그의 승부수…초지능 연구소에 AI 인재 속속 합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