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상임 과기부 장관 국회 개최 공청회서 밝혀
“유럽에 비해서도 뒤처지는 상황” 언급하기도
한국의 인공지능(AI) 기술력을 미국과 견주어 봤을 때 1년 이상의 격차가 유지되고 있다는 정부의 진단이 나왔다. AI 초강대국인 미국과 어깨를 나란히 하기 위한 각 기업들과 정부의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
25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이날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가 개최한 AI 관련 공청회에서 현안 보고를 통해 “국내 AI 업계도 자체 모델을 개발하고 있지만 미국과 여전히 1년 이상 격차가 유지되고 있고 유럽에 비해서도 뒤처지고 있는 상황”이라고 언급했다.
과기정통부가 인용한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의 지난해 3월 조사에 따르면 미국 AI 기술과 대비한 각국의 격차는 우리나라 1.3년, 일본 1.5년, 유럽 1.0년, 중국 0.9년이었다.
과기정통부는 “국내에서 보유한 AI 컴퓨팅 자원은 고성능 AI 모델을 개발하기에 매우 부족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첨단 AI 알고리즘 혁신을 주도할 수 있는 고급 인재가 부족하고 상위 1%급 혁신 인재는 국내 유치가 어려운 실정”이라고 전했다.
이와 관련, 연합뉴스는 “과기정통부가 인용한 미국 싱크탱크 매크로폴로의 2022년 자료에 따르면 세계 상위 20%의 AI 분야 연구원 중 한국이 배출하는 비율은 2% 수준에 머물렀다”며 “이는 중국 47%, 미국 18% 등과 비교해 크게 낮은 수치”라고 보도했다.
키워드
관련기사
메타버스와 AI, 그리고 반도체와 로봇을 위주로 살펴보고 있습니다.
따뜻한 테크의 세상을 꿈꿉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