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AI의 최신 모델 GPT-5가 이번에는 ‘실전 코딩’을 전면에 내세웠다. 빠른 응답과 깊은 추론을 자동 전환하는 통합 라우팅 기능, 그리고 강화된 에이전틱 툴 활용이 핵심 업그레이드다.
공식 지표에 따르면 SWE-bench Verified에서 74.9%, Aider Polyglot에서 88%를 기록하며 코딩 전 영역 성능이 개선됐다. 고난도 과학 추론 시험인 GPQA에서도 도구 없이 88.4%를 달성했다. GPT-5는 로그인한 모든 사용자에게 무료로 제공되며, Plus·Pro·Team 요금제에서는 더 높은 사용량과 다양한 추론 옵션을 제공해 기업 환경에서도 활용 폭이 넓어졌다.
GPT-5, ‘자동 라우팅’으로 개발·QA·디버깅 효율↑
이번 GPT-5의 특징은 모델 선택 없이 표준 작업은 빠르게, 복잡한 업무는 ‘생각 모드’로 자동 전환된다는 점이다. 이를 통해 개발, QA, 프론트엔드 생성, 멀티모달 디버깅 등 다양한 업무에서 체감 효율이 크게 높아졌다.
특히 코드 작성과 수정, 데이터 분석, 이미지·도표 해석까지 한 번에 처리할 수 있어, 현업 개발자뿐 아니라 비개발 부서에서도 업무 속도를 높일 수 있다는 평가다. 이러한 범용성과 생산성 덕분에 GPT-5는 B2B 시장에서의 점유율 회복을 노리고 있다.
클로드 4.1, 장문맥·대규모 코드 처리로 ‘맞불’
앤트로픽의 Claude Opus 4.1은 SWE-bench Verified에서 74.5%를 기록하며 상위권 코딩 성능을 유지했다. 특히 20만 토큰 장문맥 처리 능력으로 수백 쪽 문서나 방대한 코드베이스를 한 번에 분석할 수 있다.
가격 구조는 입력 100만 토큰당 15달러, 출력 100만 토큰당 75달러로 단순·명확하며, 배치 처리와 프롬프트 캐싱 기능을 통해 장기 프로젝트나 반복 리팩터링 시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GPT-5가 멀티모달·툴 연계·범용성에서 강점을 보이는 반면, 클로드 4.1은 긴 호흡과 대규모 리포지터리 환경에서 안정성과 지구력으로 승부한다.
한국 시장, 오픈AI·앤트로픽 모두 ‘직접 영업’ 강화
오픈AI는 서울 사무소 개설과 한국 법인 설립 절차를 시작했으며, GPT-5 무료 제공 확대와 함께 국내 파트너십을 적극 확대하고 있다. 앤트로픽도 지난 7월 ‘Anthropic Korea’ 법인을 설립하고 연내 첫 공식 행사와 사무소 개소를 준비 중이다.
오픈AI는 아시아 데이터 레지던시 정책을 발표해 한국 기업이 요구하는 데이터 주권에도 대응했다. 두 회사 모두 직접 영업과 현지 파트너 협력을 병행하며, 하반기 B2B 시장에서의 주도권 확보 경쟁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선택 가이드…‘범용 자동화’는 GPT-5, ‘장기·대형 리팩터링’은 클로드 4.1
프론트엔드 생성, UI 디버깅, 이미지·도표 해석, 다양한 툴 연계를 한 계정에서 자동 처리하려면 GPT-5가 유리하다. 반대로 수백 페이지 분량의 요구사항 분석, 레거시 코드 리팩터링, 며칠 단위로 이어지는 대형 작업처럼 문맥 유지가 품질과 비용을 좌우하는 업무에는 클로드 4.1이 안정적이다.
GPT-5는 무료 채널을 포함한 ‘저진입–고확산’ 전략으로 파일럿 도입이 쉽고, 클로드 4.1은 API 단가가 명확해 예산 관리가 편하다. 복합 조직이라면 GPT-5로 범용 생산성과 창작 업무를, 클로드 4.1로 장기 코딩·문서 분석을 맡기는 ‘하이브리드 전략’이 가장 현실적인 선택이다.
신주백 기자 jbshin@kmjournal.net
- GPT-5 출시, AI 결정판 나왔다
- 앤트로픽, 차세대 코딩 AI '클로드 오푸스 4.1' 공개
- "GPT-5는 무엇이 다른가?"…출시 전 이례적 홍보에 나선 오픈AI의 속내
- 앤트로픽, 오픈AI '클로드' 접근 차단
- 오픈AI GPT-5 발표, ‘차트 범죄’ 논란…샘 올트먼 “메가 차트 스크루업” 인정
- “말투만 문제 아니다” GPT-5 성능 논란…오픈AI, Plus 한정 GPT-4o 옵션 부활
- 샘 올트먼 “GPT-5, 속도·지능 모두 폭발적… 나조차 두렵다”
- [칼럼] GPT-5 ‘원팀 전략’의 속내… 오픈AI가 싱킹 모드 제한 둔 이유
- 앤트로픽, ‘휘발성 기억’ 장착한 클로드로 AI 경쟁전 새 판 짠다
- "최대 7시간 생각하는 AI"…오픈AI 'GPT-5-코덱스', 코딩 혁신의 새 기준 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