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8월, 오픈AI가 GPT-5를 공식 출시하기 전부터 전례 없는 '사전 홍보전'에 나서며 AI 업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보통은 철저히 함구하는 것이 업계 관행임에도 불구하고, 오픈AI는 자체 기술 정보를 전방위적으로 흘리는 전략을 택했다. 과연 그 이유는 무엇일까.
세 가지 모드로 진화한 GPT-5…라우터 도입으로 구조 달라져
오픈AI 내부자 추정 인사의 트윗 삭제와 함께 스타트업 관계자를 통해 알려진 라우터 기술의 도입은 GPT-5가 단순한 업그레이드를 넘어 ‘추론, 비추론, 도구 사용’이라는 3가지 작동 모드를 갖췄음을 암시한다. 이는 GPT-4의 일원화된 동작과 달리, 다양한 작업 맥락에 따라 유연하게 동작하는 방식으로 진화했음을 보여준다.
성능 과시가 아닌 ‘가능성’ 알리기에 집중한 CEO와 연구진
샘 알트먼 CEO는 팟캐스트에 직접 출연해 “GPT-5를 사용해보며 스스로도 놀랐다”는 감상을 전했고, 수학 추론 담당 리더(헌터 라이트먼)와 최고 과학자(야쿠브 파초키), 최고 연구 책임자(마크 첸)도 공개적으로 등장해 GPT-5의 강점을 설명했다.
특히 강조된 기술은 ‘범용 검증기(Universal Verifier)’로, 이는 추론 모델의 스케일링 한계를 해결하기 위한 핵심 기술로 소개됐다. 오픈AI가 기존과는 다른 방식으로 모델 향상 문제를 풀고자 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수치보다 ‘상징적 성과’에 집중하는 이유
GPT-5에 대한 벤치마크 수치는 아직 공식적으로 발표되지 않았다. 대신 오픈AI는 국제 수학올림피아드 금메달, 코딩 경연대회 준우승이라는 외부 대회 성과를 부각시키고 있다. 이는 모델 성능 자체가 아직까지 AGI(인공 일반 지능)의 기대치에 도달하지 못했음을 간접적으로 인정하면서도, “AI가 인간을 뛰어넘는 단계에 도달했다”는 상징적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하는 전략으로 해석된다.
실제로 알트먼 CEO는 “수개월 내에 GPT-5가 골드 수준에 도달하긴 어려울 것”이라며 기대치를 조절했다. 관계자들 역시 GPT-5가 AGI를 실현하기에는 아직 갈 길이 멀다고 평가했다.
사전 홍보, 오히려 GPT-5에 대한 ‘경계심’의 표현?
AI 모델 출시 전의 이례적인 홍보는, 오히려 GPT-5의 혁신이 수치상으로는 뚜렷하게 입증되기 어렵다는 판단에 따른 전략일 수 있다. 벤치마크 지표가 이미 최첨단 모델 간 변별력을 제공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오픈AI는 정량적 수치가 아닌 사용자 체감과 기술적 메시지 전달에 주력하는 모습이다.
그렇기에 GPT-5는 단순 성능 경쟁이 아닌, AI 기술 패러다임의 전환점이 될 수 있는 핵심 기능과 철학을 담고 있는가라는 질문에 답해야 한다.
‘혁신의 NEXT 페르소나’가 될 수 있을까?
GPT-3.5(챗GPT)는 AI 대중화를 이끌었고, GPT-4는 고차원 추론으로 업계의 기술 기준을 바꿨다. 이제 GPT-5는 ‘성능 향상 이상의 의미’를 증명해야 하는 모델이 되었다. 오픈AI는 모델 출시에 앞서 전례 없는 메시지를 던지고 있으며, 이는 GPT-5가 단순한 후속작이 아닌, AI의 진화 방향을 가늠하는 바로미터가 될 것임을 시사한다.
신주백 기자 jbshin@kmjournal.net
- KT, AI 영상 공모전 'P.A.N' 접수 개시
- 오픈AI, GPT-5에 ‘망상 방지’ 기능 강화…정신건강 대응도 고도화
- “유튜브보다 더 오래 쓴다”…챗GPT 사용 시간, 역대 최고치 경신
- 출시 임박? 연기? GPT-5를 둘러싼 기대와 불안
- 챗GPT, 한국 시장도 장악… K-AI는 반격 가능할까?
- [테크 칼럼] GPT-5는 ‘변곡점’인가, ‘버티기 전략’인가
- 오픈AI, 한국 첫 사무소 ‘강남 테헤란로’에 둥지…다음달 공식 개소
- GPT-5 출시, AI 결정판 나왔다
- ‘코딩이 승부처’…오픈AI GPT-5, B2B 시장 1위 탈환 시동
- 오픈AI GPT-5 발표, ‘차트 범죄’ 논란…샘 올트먼 “메가 차트 스크루업” 인정
- [테크 칼럼] AI 챗봇의 과잉 공감, 정신 건강에 해로울 수 있다?
- 샘 올트먼 “AI 버블 현실화 우려… 닷컴 붕괴 전철 밟을 수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