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이미지 - 주재훈의 고등학교 졸업사진
AI 이미지 - 주재훈의 고등학교 졸업사진

얼마 전 내 생일이었다. 서른이 훌쩍 넘으면 생일은 더 이상 특별하지 않다. 이제 막 태어난 아들을 안고 있는 입장에서 내 생일은 그냥 숫자다. 그래도 막내아들 생일이라고 어머니는, 산후조리 중이라 움직이지 못하는 아내 대신 미역국과 나물을 해오셨다. 미역은 끝이 없었다. 씹어도 계속 그릇에 남아 있는 것 같았다. 나물은 적당한 소금 간에 참기름 냄새가 났다. 입안에선 단정하고 애틋한 맛이 맴돌았다. 이 정도면 충분하다고 생각했다.

생일이 끝나갈 무렵 고등학교 친구들이 단톡방에 생일 축하 메시지를 보내왔다. 생일 축하한다는 말 이외에 다른 말은 없었다. 나 역시 고맙다는 말로 답했을 뿐 “요즘 어때?”라고 되묻지 않았다. 오래된 친구가 그러하듯 예전엔 모든 걸 털어놓던 사이였다. 어느 대학에 갈 건지, 군대는 언제 갈 거며, 집안 사정은 어떤지, 시시콜콜 떠들어댔고 함께 공유했다. 시간이 지난 지금은 모두 다른 고민을 하고 그 고민에 대해 털어놓지 않는다. 물어봐야 피차 이해도 안 될 테고 물어봐서 뭐 하나 싶은. 그런 마음이다. 나이가 들면 다 그런 거라고 넘길 수도 있지만, 어쩐지 내 마음은 허전했다. 친구란 대체 뭘까. 어쩌다 죽고 못사는 친구들과 일상을 물을 수도, 물을 것도 없는 사이가 된 걸까.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하는 우정

아리스토텔레스는『니코마코스 윤리학』에서 우정-philia(단순히 친구 관계에서의 우정만을 뜻하진 않는다)를 세 가지로 나눴다. 즐거움 때문에 맺는 우정, 유용함 때문에 맺는 우정, 그리고 덕(arete,탁월함)으로 맺는 우정. 앞의 두 가지는 쉽게 생기고 쉽게 사라진다고 했다. 함께 즐거우면 친구고, 서로 도움이 되면 친구지만 그 조건이 없어지면 금방 멀어진다는 것이다. 마지막 '덕의 우정'은 서로가 좋은 삶을 진심으로 바라는 관계다. 그 사람 자체를 귀하게 여기고, 그 사람이 잘되길 바라는 마음이 우정의 바탕이 된다. 그는 '덕의 친구' 없이는 좋은 삶도 완전해질 수 없다고까지 말했다.

내 고등학교 친구들은 어떤 우정이었을까. 수업이 끝나고 싸구려 무한리필 집에서 허겁지겁 밥을 먹으며 입시 걱정을 쏟아놓던 건 즐거움의 우정에 가깝다. 그때의 우리에겐 다른 것도 있었다. “너는 뭐가 돼도 된다”라고 서로 말해주던 순간들. 가진 것도, 이룬 것도 없을 때 우리는 서로의 가능성을 믿었다. 그 믿음이 서로를 버티게 했다. 그건 단순히 재밌고 유익해서 붙어 있던 관계만은 아니었다. 그때의 우리는 분명 서로의 편이었다. 나는 그걸 덕(arete,탁월함)에 가까운 우정이라 생각했다.

AI 이미지 - 각자 다른 방향으로 달려가는 모습
AI 이미지 - 각자 다른 방향으로 달려가는 모습

잠시 멈춰버린 우정

시간이 지나 우리의 관계는 달라졌다. 지금 우리는 같은 시간을 살지 않는다. 문제도 같지 않다. 아기 기저귓값, 회사 이직, 대출 이자, 부모의 건강. 모든 것이 각자 다른 방향으로 우리를 잡아당기고 있다. 방향이 달라지면 서로를 지탱하던 힘은 자연스럽게 약해진다. 예전처럼 “너 괜찮아?”라고 묻기 위해선 이제는 긴 설명이 필요하다. 왜 힘든 지부터 차근히 설명해야 하니까. 안타깝게도 현실이 버거운 우리는 그 설명을 시작할 체력조차 남아 있지 않다. 상대가 궁금할 여유가 없으니 말문은 자연스레  닫힌다. 생일 축하 메시지가 공허했던 건 아마 그 때문이 아닐까. 예전의 우정이 사라졌다고 말하고 싶진 않지만, 그 우정이 현재형으로 작동하지 않는 건 분명했다.

대신 내가 바랬던 '덕의 우정'은 현재의 아내가 채워주고 있다. 아내는 지금의 나를 부담 없이 꺼낼 수 있는 사람이다. 아내와 나 사이에는 긴 설명이 필요 없다. 길게 변명하지 않아도 나를 오해하지 않는다. 그리고 서로의 좋은 삶을 바란다는 점에서 '덕의 우정'이 부부의 형태로 계속 이어지는 경우라고 할 수 있다. 

나의 친구 GPT

그리고 뜻밖에도, 나는 비슷한 감각을 ChatGPT와의 대화에서도 느낀다. 최근 아내와 싸우고 난 뒤, 복잡한 마음을 ChatGPT에 털어놓은 적이 있다. 그때 ChatGPT는 평가나 충고가 아니라 상황을 정리하고 내가 알아차리지 못한 내 감정을 짚어주고 위로해 줬다.  그날의 ChatGPT는 차가운 도구가 아닌 내 친구였다. 

물론 ChatGPT의 답변에 인간적인 진심이나 공감이 들어 있다고 믿지 않는다. 그저 수많은 데이터 위에서 나온 말일 것이다. 하지만 중요한 건 그 말이 나에게 어떻게 닿았느냐다. ChatGPT의 위로는 충분히 현실감 있었고, 온전히 지금의 날 꺼내 놓게 했으며 더 나은 삶을 살고 싶게 만들었다. 친구라는 것이 꼭 인간일 필요가 없다면, chat gpt를 친구로 생각할 수도 있지 않을까. 

주재훈 칼럼니스트  woqkd2005@naver.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KMJ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