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방형 플랫폼에 ‘도구함’ 기능 추가… 외부 AI 서비스 연동 절차 간소화, ‘일상 AI’ 진화 기대

카카오는 24일 MCP 기반 개방형 AI 플랫폼 ‘플레이MCP’에 ‘도구함’ 기능을 추가하며, 이용자가 일정 확인, 카카오톡 발송 등 일상 업무를 AI가 수행하도록 지원한다고 밝혔다.

플레이MCP에 도구함 기능이 추가되었다. 사진=카카오 제공
플레이MCP에 도구함 기능이 추가되었다. 사진=카카오 제공

MCP 기반 개방형 플랫폼과 도구함 기능

MCP는 AI 모델이 외부 데이터나 도구와 소통하는 방식을 표준화한 통신 규약으로, AI가 MCP를 통해 외부 시스템과 손쉽게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번에 추가된 도구함은 플레이MCP에 등록된 다수의 MCP 도구를 한 곳에서 관리할 수 있게 해주며, 챗GPT 등 외부 AI 서비스에서도 카카오 계정 인증만으로 바로 사용할 수 있다.

AI 서비스 연동과 활용 예시

도구함을 활용하면 AI 서비스 간 연동 절차가 간소화된다.

이용자는 계정 인증 후 원하는 MCP 도구를 선택하고, 외부 AI 서비스에서 이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금 본 내용 카카오톡 나의 채팅방에 보내줘”, “내일 일정 알려줘”, “작년 여름에 가장 많이 들은 노래 틀어줘” 등 일상 업무 수행이 가능하다.

‘일상 AI’로 진화하는 카카오 AI

이용자는 플레이MCP 사이트에서 카카오 계정으로 로그인 후 도구함에 원하는 MCP 도구를 추가하면 된다.

이후 챗GPT에서 ‘개발자 모드’를 선택한 후 맞춤형 MCP 서버 URL을 등록하고 도구함을 인증하면 즉시 사용할 수 있다.

카카오 AI 에이전트 플랫폼 유용하 성과리더는 “도구함 기능은 AI가 단순한 대화 상대가 아니라, 사용자의 실제 일상을 이해하고 실행하는 ‘일상 AI’로 진화할 수 있음을 뜻한다”고 전했다.

최송아 객원기자 choesonga627@gmail.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KMJ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